경제

유류세 인하도 무용지물.. 경유·휘발유價 고공행진
김우영 기자 입력 2022. 05. 14. 08:49기사 도구 모음
정부가 유가 안정을 위해 이달부터 유류세 인하율을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했지만,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1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5월 둘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1.9원 오른 리터(L)당 1942.6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32.8원 오른 L당 1939.7원으로 집계됐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정부가 유가 안정을 위해 이달부터 유류세 인하율을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했지만,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1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5월 둘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1.9원 오른 리터(L)당 1942.6원으로 집계됐다.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9.5원 상승한 L당 1997.6원이었다. 전국 평균 가격 대비 55원 높은 수준이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 휘발유 가격은 같은 기간 3.9원 상승한 1916.6을 기록, 전국 평균 가격 대비 26원 낮았다.
상표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의 평균 가격이 L당 1952.2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가 L당 평균 1913.7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32.8원 오른 L당 1939.7원으로 집계됐다.
일일 평균 가격으로 보면, 경유 가격은 지난 11일 휘발유 가격을 역전했고, 12일에는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싸진 것은 2008년 이후 14년 만이다. 전날 오후 기준 전국 평균 경유 가격은 전날보다 6원 오른 L당 1959.2원이었다.
GS칼텍스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경유 가격이 L당 1949.2원을 기록해 가장 비쌌고, 자가상표의 평균가격이 1923.7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2~3주 시차를 두고 국내 기름값에 반영되는 국제유가는 이번 주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는 전주보다 2.2달러 내린 배럴당 104.2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3.1달러 내린 배럴당 134.3달러, 국제 경유 가격은 전주보다 9.0달러 내린 배럴당 153.3달러로 집계됐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루나 폭락에 곡소리 나는데 청년들 사이에선 ‘코인 소액투자’ 유행
- "지금 사야하나?"… '8배 무상증자' 노터스에 눈길
- 계약한 차 구경도 못했는데… 소비자, 더 비싼 신차 사야할판
- 레지던스→오피스텔 전환 움직임 본격화… “규제 많아 쉽지는 않아”
- 文정부 靑 곳간지기 이정도 전 총무비서관, 기재부 돌아온다…흙수저 신화 이어지나
- “루나 후폭풍 커지는데 창업자들은?” 권도형은 수습 못하고, 신현성은 책임 회피중
- “루나·테라에 투자한 큰손들, 58조원 날렸다”
- 국내 성인 31%가 고혈압…환자 수 14년 새 2배 껑충
- 보바스병원서 자신감 얻은 신동빈...호텔롯데 상장 키 쥔 ‘시니어’
- 공공기관 평균 연봉 7000만원… 2위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