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美댈러스 한인미용실 총격은 아시아계 노린 연쇄 증오범죄 정황
강건택 입력 2022. 05. 15. 00:21기사 도구 모음
최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의 한인 미용실에서 벌어진 총격 사건이 아시아계 상점들을 노린 연쇄 증오범죄일 가능성이 크다고 현지 경찰이 밝혔다.
댈러스 경찰은 3건의 총격이 아시아계가 운영하는 상점들을 타깃으로 삼은 연쇄 공격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미 연방수사국(FBI) 등 다른 기관과 공조해 다른 유사 사건들이 더 있는지를 파악 중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최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의 한인 미용실에서 벌어진 총격 사건이 아시아계 상점들을 노린 연쇄 증오범죄일 가능성이 크다고 현지 경찰이 밝혔다.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에디 가르시아 댈러스 경찰국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처음 조사할 때는 증오범죄임을 시사하는 단서가 없었지만, 오늘 오후부터 상황이 달라졌다. 증오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경찰이 증오범죄 가능성에 무게를 둔 것은 인근 아시아계 상점들을 대상으로 최근 벌어진 다른 사건들에서도 비슷한 차량이 목격됐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부터다.
지난 12일 오후 댈러스 북부 코리아타운 상가 미용실에 검은색 복장의 흑인 남성이 장총을 들고 난입해 한인 여성 3명을 쏜 뒤 적갈색 미니밴을 타고 달아난 이번 사건에 앞서 비슷한 색깔의 미니밴이 다른 2건의 총격 사건에서 보고됐다고 경찰은 밝혔다.
지난달 2일 한인 미용실과 같은 블록에 있는 아시아계 상점에 대한 총격 때는 '붉은색 미니밴'이, 미용실 총격 하루 전인 10일 또 다른 아시아계 상점에 대한 총격 때는 '진홍색 자동차 또는 미니밴'이 각각 현장에서 목격된 바 있다.
두 건의 다른 총격 범죄는 미니밴 안에서 가게를 향해 총을 쏜 뒤 그대로 달아난 사건으로 부상자는 없었다.
댈러스 경찰은 3건의 총격이 아시아계가 운영하는 상점들을 타깃으로 삼은 연쇄 공격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미 연방수사국(FBI) 등 다른 기관과 공조해 다른 유사 사건들이 더 있는지를 파악 중이다.
경찰은 키 170∼178㎝의 마른 체격에 수염을 기른 흑인 남성을 용의자로 지목하고 시민들의 제보를 당부했다.
가르시아 경찰국장은 아시아계 주민이 사는 지역에 대한 순찰을 늘렸다면서 "이곳에서 증오는 설 자리가 없다"고 말했다.
댈러스에서 아시아·태평양 출신 인구는 4만8천278명으로 전체 주민의 거의 4%를 차지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아시아계 대상 범죄가 증가하자 댈러스 경찰은 한국어와 베트남어 등을 구사할 수 있는 경관들로 팀을 꾸리고 증오범죄 대응에 나섰으나, 여전히 아시아계 대상 범죄 다수가 신고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firstcirc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송영길 "미신 의존해 멀쩡한 靑 놔두고 용산행"…尹대통령 겨냥
- 한국인 폭행 혐의 바이든 경호원 2명 美 송환…"마약복용 조사"
- "시끄러워서"…이재명 향해 철제그릇 던진 60대 구속영장
- "내각에 남성만" 美기자 질문에 尹 "공정한 기회보장 노력"
- 尹대통령, 우크라를 러시아로 잘못 불렀다가 바로 정정
- WHO "원숭이두창, 최소 12개국에서 80건 넘게 확인"
- 바이든, 尹대통령을 "文대통령"으로 불렀다 바로 정정
- 삼성 반도체공장서 설명듣던 바이든, 뜬금없이 "투표 잊지 마라"
- 비흡연 배우자 시신서 검출된 치사량 니코틴…딱 걸린 살해범들
- 7개월만에 짐가방 꾸리는 이다영…그리스 떠난 다음 행선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