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교육감 후보 릴레이 인터뷰] 5. 유대균 후보

오세현 입력 2022. 5. 26. 00:10 수정 2022. 5. 26. 08: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초학력·인성 증진, 꿈과 끼 키우는 학교의 본질 되찾을 것"
무너진 학교의 모습 복원 소명
평준화, 서열화 완화 효과 인정
민사고·외고·과학고 유지 의지
현재 복지 지속·추가 사업 재고
배움터·사랑의 일터로 신뢰 회복
기초학력 기반 소질 개발 노력
정시 '스펙'·수시 '스토리' 병행
▲ 유대균 도교육감 후보

강원도교육감 선거에 나서는 유대균 후보는 교육다운 교육, 학교다운 학교를 강조한다. 교육이 제 역할을 다 해 낼 때 강원도민들과 학부모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선 학교의 분위기도 바꾸겠다고 말했다. 유대균 후보를 최근 춘천에 위치한 그의 선거사무실에서 만났다.

진행=오세현 사회부장직무대행

□유대균 후보는 나이 61세, 정선 출생
□학력 춘천 교대·강원대 대학원(박사)
□ 경력
-전 교육부 장학관
-전 강원초등교장회 회장
□주요공약
-기초 기본학력 책임지는 개별 맞춤형 교육 시스템 정착
-에듀테크 교육환경 구축으로 디지털 웰빙 교육 선도하는 미래교육
-안전 안심교육 환경 조성으로 아이
키우기 행복한 강원 만들기


-자기소개를 해달라.

“교직 생활 40년 6개월 동안 교육부와 교육청, 교육연구원, 해외 학교 등의 다양한 곳에서 근무했다. 춘천교대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석사를, 강원대에서 박사과정을 했다.”

-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이유는.

“교육부에서 과장으로 있을 때 강원 교육의 학력이 굉장히 떨어졌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이후 강원도에 학교장으로 와보니 너무 형편없었다. 생각보다 더 무너졌다. 학교의 문화 풍토도 너무 엉망이다. 학교 내의 구성원 간의 갈등이 심하고, 학부모들은 학교에 대한 신뢰가 거의 무너졌다. 선생님 간의 분열, 갈등의 모습도 나타난다. 이건 학교의 모습이 아니다. 진짜 학교다운 모습은 따로 있다. 또 교육하면 교육다운 모습이 있는데 이게 무너졌다. 누군가 해결 해야 된다. 그래서 결론적으로는 내 소명이자 운명이라 생각하고 그 역할을 담당하고자 나왔다.”

-학교다운 학교, 교육다운 교육이 무엇일까.

학교라는 곳은 배움의 장소다. 미래 세대가 자기들의 미래를 꿈꾸는 곳이다. 미래를 꿈꾸는 곳이 되려면 어려운 일이 있어도 한 번 해보고, 힘들어도 도전해보고 그러면서 자기의 소질과 적성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도전하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맛보고, 자존감도 생기고, 살아가는 힘을 키울 수 있는 그런 장소가 학교여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무너지게 된 이유는 뭐라고 보는지.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첫 번째 원인은 기초학력 문제다. 체력도 기초 체력이 있어야 운동을 잘 하듯이 교육도 기초학력이 있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근데 기초학력을 살펴보면 현재는 조사도 안 한다. 이 치부를 드러내기 싫어한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통계적으로 보니까 일부 과목의 경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10%가 넘는다. 이거는 교육 포기 현상이다. 그래서 강원 교육을 ‘무너졌다’라고 표현하는 거다.”

-강원 교육 전반을 평가한다면.

“총체적인 부실이다. 아무리 다른 분야가 잘 됐다 할지라도 가장 기본적인 기초학력이 무너지면 부실공사에 불과하다. 고교평준화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학교 간의 서열화를 완화시킨 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그러나 개개인의 능력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데는 실패했다. 교육이라고 하는 것은 개인, 개인의 문제다. 이 부분에 실패했기 때문에 하향 평준화됐다고 이야기한다. 무상급식은 참 잘했다고 본다. 끼니를 챙기지 못하는 아이들 또 차별받는 아이들을 예우하고 교육이 희망의 사다리가 될 수 있다는 점은 찬성한다. 그런데 이게 좀 과도하다. 무상급식, 무상 교복 등 무상 시리즈가 계속 나가다 보니 내가 학교장으로 있을 때 학부모들이 수학여행 가는 거 왜 학교에서 (지원)안 해주느냐, 왜 공짜로 안 해주고 우리 학부모들이 돈 내야 하느냐, 일부는 방과 후 활동 같은 경우도 우리가 왜 꼭 돈을 내야 하느냐고 따진다. 학교에서는 이런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

-교육감이 된다면 지금 하고 있는 무상 정책을 손 볼 여지가 있는지.

“복지 정책은 한 번 발을 내디디면 다시 거둬들이기 어렵다. 현재의 복지 수준은 그대로 유지하겠지만, 추가적인 복지 사업이 아이들의 성장 발달에 필수적이지 않다면 재고할 생각이다.”

-고교평준화는 어떻게 보는지.

“현재 고교평준화는 그대로 유지해야 된다. 학교 간의 서열화는 완화시켰지만, 개인의 성장 발달에는 실패했다. 수월성 교육 차원에서 민사고, 외고, 과학고 같은 학교들은 유지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유권자들이 어떤 점을 당부하는지.

“애들 좀 공부 좀 시켜달라는 거다. 제발 공부 좀 시키라고 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얘기하는 거는 인성이다. ‘애들이 버릇 없이 구는 거 좀 막아달라’는 얘기를 많이 당부한다.”

-교육감이 된다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약은.

“학교 분위기를 바꾸고 싶다. 학교 분위기를 좀 더 교육하는 분위기, 좀 더 학교다운 분위기로 바꾸겠다. 말이 조금 어렵지만 그런 분위기가 됐으면 좋겠다.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이 꿈과 끼를 키우는 즐거운 배움터로 학교가 역할을 해야 하고 우리 선생님들은 자긍심을 갖고, 긍지를 갖고, 보람있게 활동할 수 있는 사랑의 장소, 사랑의 일터로 만들고 싶다. 이런 모습을 갖추면 도민들과 학부모들이 학교를 신뢰할 것이다.”

-교장 얘기를 많이 하는데, 일선 학교에서 지금 교장들이 어떤 상황인지.

내가 강원도에서 교장으로 6년 있었다. 1300명이 넘는, 강원도에서 제일 큰 규모 학교 교장으로도 있었고 30명밖에 안 되는 작은학교 교장으로도 있었다. 지금 학교 현장에서 교장은 좀 이렇게 표현하면 적절한지 모르겠지만 발언권도 약해지고, 지역사회 인정도 못 받고 있다. 교직원들을 통솔할 수 있는 리더십 발휘도 어려운 환경이다. 전교조 12년 교육감 동안 전교조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힘을 부여하는 측면이 강했고 학생들에게도 ‘강원도행복청’ 이라는 이름으로 행복만 강조, 교육의 힘을 약화시켰다. 이런 점이 학교장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누가 나서려하겠는가. 그러다 보니까 학교가 그냥 잠잠해지고 역동성이 없어지고 교육 활동이 침체된다. 그나마도 ‘교육은 이래서 안 된다’ 하고 헌신과 열정을 가지신 분들이 학교를 꾸려가지만 이게 점점 더 어려워지는 거다. 내가 강원도초등교장협의회장을 했다. 그런 정보들을 너무 많이 듣는다. 교장은 경륜, 경험을 바탕으로 오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런 것들을 드러내지 못하는 문화가 됐다. 그거는 진짜 고쳐야 된다는 생각이다.”

-역으로 생각해 보면 젊거나 혹은 일반 교사들의 목소리가 커졌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지 않을까.

“물론 그렇다. 젊은 교사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들과 열정은 긍정적이다. 그런 것들을 살려서 교육 활동이 서로 이해되고 협조가 이뤄지고 타협이 되고 서로 배려할 수 있다면 그 학교는 발전한다. 그런데 이해와 타협, 협조가 아니라 어떤 사안이나 결정이 자기에게 손해가 된다고 생각하는 순간 학교 내 갈등과 분열이 생긴다. 아쉽게도 전교조 교육감 12년 동안 전교조 활동, 특정 단체에 대한 무게감을 강하게 심어주다 보니 초임 교사들도 교장과 교감을 자신들과 똑같은 수준으로 생각한다. 그들의 권위를 인정해주는 부분도 있어야 하는데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교장 입장에서도 신규 교사가 잘 못한 부분이 있으면 알려줘야 하는데 쉽지 않은거다. 교장 입장에서는 ‘아이고 철이 없어서’라고 넘어갈 수 있지만 그런 모습들은 결국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진다. 학력저하는 물론이고 생활지도도 어렵게 되는 총체적 난국이 되는 셈이다.”

-지금 정부에서는 정시 수시에서 정시의 비중을 좀 더 늘려가는 추세인데.

“정시가 40%로 확대됐다. 지금 윤석열 정부도 그대로 유지한다고 했다. 강원도는 90% 이상이 수시로 진학한다. 수시는 결국은 학교 내신이 중요하다. 자기 진로나 적성에 대한 스토리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정시는 사실 스토리보다 스펙이 중요할 수 있다. 공부 열심히 해서 수능을 잘 보면 되니까. 진로 교육을 탄탄하게 해서 학생들이 자기 소질이나 적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진로를 열어줘야 된다. 그런데 공부에 취미가 있는 애들이 있다. 그렇다면 공부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공부도 하나의 적성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초학력은 모두 갖추게 하고 이를 키워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두 트랙을 병행할 수밖에 없다.”

-유권자들에게 한 말씀.

“유대균을 기억해달라. 우리 강원도에서 국가 교육 정책을 담당했던 사람이 누가 있는가. 또 전문직으로 오래 있으면서 해외 경험도 풍부하다. 강원 교육을 정말 사랑한다. 우리 미래 세대를 위해서 헌신할 준비가 돼 있다. 유대균을 꼭 기억해달라.” 정리/정민엽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