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사망 시간, 구더기는 알고 있다..죽음의 진실 쫓는 수사관

위문희 2022. 5. 29. 0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4년 6월 12일. 전남 순천의 한 매실 밭에서 부패가 심한 시신 한 구가 발견됐다. 변사체의 신원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DNA 감정을 통해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사망 시점에 대한 의문은 남아있었다. 경찰은 시신에서 발견된 구더기와 현장 주변에서 수거한 번데기를 통해 사망 시점 추정에 나섰다. 국내에서 법곤충학(Forensic Entomology) 감정기법이 최초로 활용된 순간이다.

송태화 경찰수사연수원 교수가 지난 17일 개소한 법곤충감정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위문희 기자

개소 일주일 만에 8건 감정 접수


당시 감정팀으로 투입된 송태화(53·경위) 경찰수사연수원 과학수사과 교수를 지난 23일 만났다. 송 교수가 설립을 주도해온 법곤충감정실(Forensic Entomology Lab)이 지난 17일 충남 아산 경찰수사연수원에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2016년 수사연수원에 부임하자마자 기획재정부에 예산을 신청하고 국회를 설득한 지 7년 만이다. 초기엔 “돌아가신 분들을 위해 무슨 연구가 필요하냐”는 핀잔을 들었다고 한다. 개소 일주일여 만에 8건의 감정이 접수됐다.

송 교수는 1997년 순경 공채로 경찰에 입문했다. 수사연수원에서 일선서 과학수사관과 검시조사관을 대상으로 변사현장감식 과정, 매장시체발굴감시 과정, 검시조사관 과정을 가르친다.

그는 경기 의정부경찰서에서 과학수사관으로 근무하던 시절 ‘죽음’을 통해 법곤충학에 관심을 갖게 됐다. 송 교수가 근무했던 의정부서는 전국에서도 변사 사건이 손에 꼽을 정도로 많은 곳이었다. 1년에 200여구의 시체를 봤다고 한다. 송 교수는 “의학적인 지식도 없었고, 체계적으로 죽음에 대해 알려주는 시설도 없었다”며 “유가족이 현장에서 울고불고할 때 이분은 언제 돌아가셨는지 명확한 답을 주고 싶은데 그나마 범죄로 인한 사망이 아니길 바라는 것이 전부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오히려 더 시체에 관심을 갖게 됐고, 혐오스럽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2014년 7월 25일 오전 서울 양천구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분원에서 공개된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시신 감정 결과 발표. 유 전 회장 추정 엑스선 사진. 중앙포토

1855년 프랑스에서 곤충을 처음 수사에 활용


죽음과 곤충이 밀접한 이유는 시체가 변하면서 동반되는 냄새에 곤충이 몰려들기 때문이다. 법곤충학은 시신 주변에서 발견된 곤충의 성장 속도를 역산해서 사망시간을 추정한다. 1855년 프랑스에서 처음 법곤충 감정기법이 도입됐다고 한다. 파리의 개조 중인 주택의 벽난로 뒤에서 유아 시신이 발견된 때다. 당시 경찰은 근처에서 찾아낸 나방과 유충을 통해 1848년쯤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 등에선 시체를 기증받아 그대로 방치하면서 연구를 하는 곳도 있다. 미국 테네시주립대 법인류학센터인 ‘바디팜(시체농장·body farm)’이 대표적이다. 바디팜은 연간 600여구의 시체를 기증받아 부패 정도를 연구한다. 송 교수도 2016년, 2017년, 2019년 세 차례에 걸쳐 연수를 다녀왔다. 송 교수는 “시체가 다양하게 변화하는데 그럴 때마다 시체에 오는 곤충들도 다양해진다. 그 곤충들로 사망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다는 것을 문헌적으로 확인했다”며 “곤충을 가지고 사망시간을 추정할 필요성을 더욱 강하게 느꼈다”고 말했다.

구리금파리의 성장단계별 주기. 경찰청

우점종인 파리에 대한 연구 중요


시신에선 보통 파리가 흔하게 발견된다. 송 교수는 “파리는 먼저 와서 흔히 산란을 시도하는 애들이다. 검정파리과가 많이 발견되는데 우점종이기 때문에 파리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유병언 시신에서 발견된 번데기의 유충도 검정파리과인 큰검정뺨금파리였다. 송 교수는 “국내에 성장 속도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종이어서 대만과 일본에 자문을 구해 산란 시점을 역산하고 사망시간을 추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경찰은 2016년부터 고려대법의학교실과 함께 국내 서식파리 3종의 성장데이터를 구축해온 상태다.

물론 파리만 있는 건 아니다. 시신이 좀 더 부패한 후에는 반날갯과, 송장벌레과 등도 나타난다. 송 교수는 “사체가 놓여 있는 곳에서 형성된 구더기가 토실토실해질 때쯤 그 구더기를 잡아먹기 위해 딱정벌레나 왕반날개가 나온다”며 “그런 곤충들이 보이면 한 4~5일이 지났구나 판단을 하고, 채집한 구더기를 성장시켜 종을 알아보기도 한다”고 말했다.

송태화 경찰수사연수원 교수, 이현주ㆍ오대건 법곤충감정실 보건연구사(오른쪽부터)가 국내 서식 파리 모형을 들여다보고 있다. 위문희 기자

사망시간뿐만 아니라 유기 여부도 추정


곤충을 통한 사망시간 추정이 중요한 이유는 유가족 입장에선 제사를 지낼 기일을 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건·사고의 경우 진범을 추적하는 단서로도 활용된다. 송 교수는 “원체 파리 종들이 많은데 도심이나 야외, 풀숲에서 서식하는 종들이 다 다르다”며 “도심에서 나올만한 파리가 야외 시신에서 발견되면 유기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법곤충학은 미국과 유럽에선 보편적인 수사기법이지만 국내는 곤충 전문가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의 지역적 특징과 계절적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미비한 어려움도 있다. 송 교수는 “선진국에 비해 늦었지만, 이제라도 법곤충감정실이 문을 열어 감회가 새롭다”며 “그동안 잘못된 사망시간 추정으로 억울한 피해자가 없었을까 싶지만, 이제는 더이상의 억울한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조심스럽게 기대해본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