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소시장 선점".. 투자 속도내는 기업들
남혜정 입력 2022. 06. 21. 01:03기사 도구 모음
국내 기업들이 수소경제사회 주도권을 쥐기 위한 투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수소경제 육성을 위한 수소법안이 의결되는 등 국내에서도 수소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2024년 5월까지 전북 부안의 신재생에너지 단지에 2.5메가와트(㎿)급 수전해 설비를 통해 수소를 하루 1t 이상 생산·저장·운송할 수 있는 국내 최대 상업용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연산 5만.. 탄소배출 저감 기대
롯데·SK는 수소발전소 '합작'
현대건설도 생산기지 건설 나서
국내 기업들이 수소경제사회 주도권을 쥐기 위한 투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수소경제 육성을 위한 수소법안이 의결되는 등 국내에서도 수소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수소경제사회 육성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은 충남 대산 사업장에 연산 5만t 규모의 수소 공장을 건설한다고 20일 밝혔다.
LG화학이 부생수소와 별개로 수소를 직접 생산하는 공장을 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화학은 대산 나프타 분해 센터(NCC) 공장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고온의 수증기와 반응시켜 수소로 바꿔 다시 연료로 사용할 계획이다.
석유화학 사업은 나프타를 고온에서 분해해 얻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기초 유분으로 시작되는데, 통상 이런 NCC 공정의 열원으로 메탄이 사용되면서 대부분의 탄소배출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고순도 수소는 연소할 때 별도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석유화학 연료로 사용할 경우 기존 대비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크게 거둘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합작법인은 울산에서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설을 첫 사업으로 시작한다. 울산은 롯데케미칼과 SK가스가 부생수소를 확보할 수 있고, 수소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어 합작법인 사업의 최적 장소로 꼽힌다. 이 발전소는 연간 50만메가와트시(㎿h)의 전력 생산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2024년 5월까지 전북 부안의 신재생에너지 단지에 2.5메가와트(㎿)급 수전해 설비를 통해 수소를 하루 1t 이상 생산·저장·운송할 수 있는 국내 최대 상업용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현대건설은 전북도, 부안군, 전북테크노파크,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에서 수소 생산기지의 기본·상세 설계, 주요 기자재 구매, 시공을 담당한다.
남혜정 기자 hjn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