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원숭이두창, 피부접촉 통해 전파..동성애 관련 없다"

김은빈 2022. 6. 23. 08: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7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입국장에 세워진 원숭이두창 관련 안내문. 뉴스1

국내에서 처음 원숭이두창 첫 확진자가 발생한 가운데 감염병 전문가인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대부분 발진이 있는 상태에서 접촉한 사람에게 주로 전파가 된다"며 "코로나처럼 전파가 용이한 바이러스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22일 오후 MBC라디오 '표창원의 뉴스 하이킥'과 인터뷰에서 "(원숭이두창이) 호흡기 전파 자체가 많지는 않다고 알려져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팬데믹이나 이런 걸 일으킨다기보다는 지금처럼 일부 해외 유입 사례에 의해서 주변에 접촉한 분들이 일부 클러스터 형태의 감염 패턴을 보일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로나처럼) 아주 심각한 상태까지 가지는 않을 거라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원숭이두창이 주로 성소수자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다는 말이 있다"는 진행자의 물음에는 "그렇지 않다"고 일축했다.

이 교수는 "피부접촉을 통해서 전파가 되다 보니까 성관계를 맺을 정도의 접촉이면 당연히 전파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며 "초기 유입 사례가 하필이면 동성애 그룹 안에서 유입이 돼 그 안에서 확산이 됐기 때문에 동성애자가 많이 진단된 것뿐이지 이게 동성애들 사이에서만 전파되는 병, 이런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또 "(원숭이두창이) 아프리카 내에서는 풍토병처럼 1년에 많게는 200~300명 정도씩 계속 발생하고 있었고, 아프리카에 여행을 갔다가 본국으로 돌아간 유럽이나 미국에서 일부 환자들의 산발적인 발생도 있었다"며 "이번처럼 40여 개국에서 2000여명 넘게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것은 처음이다 보니 관심을 끌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증상을 묻자 이 교수는 "처음 한 3일 정도는 열이 나는 증상이라서 기존에 다른 감기나 이런 건 차이가 없는 상황이고, 그다음부터 전신에 수포를 동반한 발진이 생기기 시작한다. 목이나 이런 데 임파선 림프절도 좀 붓는 양상으로 생길 수 있다"며 "그런 발진이 나타나거나 특히 위험지역을 여행 또는 발진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고 나서 이런 패턴이 나타나면 원숭이두창을 의심해야 할 수도 있다"고 했다.

치명률과 관련해선 "아프리카 내에서는 한 3~6% 정도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다만 서아프리카에서 유행하는 형태는 1%, 중앙아프리카에서는 10%라고 그러는데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하는 원숭이두창은 서아프리카 타입"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유럽과 미국에서) 한 2000여명이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1명이 사망했다"며 "그래서 의료체계, 환자에 대한 진료체계가 제대로 갖춘 국가에서는 사망률이 상당히 낮을 것 같다, 이렇게 언급되고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백신과 치료제와 관련해 "중증에 쓰는 치료제는 부작용이 많기는 했지만 시도포비어라는 약을 희귀필수의약품센터를 통해서 구할 수도 있고, 두창백신 합병증을 막기 위한 면역글로불린도 100여 명분 가지고 있는 등 당장 쓸 약은 있다"고 말했다.

또 "백신도 두창을 북한에서 생물테러 무기로 쓸 수 있다는 얘기가 있어서 3500만명 정도의 백신을 가지고 있는데, 이 백신이 85% 정도는 원숭이두창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며 "원숭이두창에 허가된 백신도 한 500여명분, 테코비리마트라는 치료제도 500명분을 7월 중에 도입할 예정"이라고 했다.

전국민 백신 접종 가능성에 대해선 "한 번 퍼지면 전국적으로 퍼지고 이런 병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지는 않을 것 같다"며 "환자랑 밀접접촉한 분들에게 예방적으로 투여하는 정도로만 사용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아직은 해외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위험국을 여행할 때 잘 모르는 사람하고 긴밀한 접촉, 모르는 사람과의 성접촉이나 이런 부분은 피하시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발진이 있는 분과는 피부 접촉을 삼가해 주시는 게 좋겠다"고 당부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