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어르신, 불 꼭 끄고 주무세요"..잘때 빛노출 건강 악영향
이재림 입력 2022. 06. 23. 15:49기사 도구 모음
잠잘 때 주변이 충분히 어둡지 않다면 노년층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시카고 노스웨스턴대 파인버그 의학전문대학원 연구팀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노년층이 수면 중 빛에 노출될수록 당뇨병, 비만, 고혈압 발병률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일주일간 평소처럼 생활하도록 한 뒤 결과를 살펴봤더니 297명(53.8%)이 수면 중 적어도 5시간 이상 빛에 노출되고 있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잠잘 때 주변이 충분히 어둡지 않다면 노년층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시카고 노스웨스턴대 파인버그 의학전문대학원 연구팀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노년층이 수면 중 빛에 노출될수록 당뇨병, 비만, 고혈압 발병률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이 높은 63∼84세의 남녀 552명에게 손목시계처럼 찰 수 있는 빛 노출 측정 장비(액티그래프)를 지급했다.
이어 일주일간 평소처럼 생활하도록 한 뒤 결과를 살펴봤더니 297명(53.8%)이 수면 중 적어도 5시간 이상 빛에 노출되고 있었다.
이들을 추적조사한 결과 수면 중 빛의 영향을 받는 경우 비만 가능성은 40.7%로, 그렇지 않은 이들의 26.7%보다 높았다.
당뇨병과 고혈압 발병 우려도 빛의 영향을 받는 집단(17.8·73.0%)이 그렇지 않은 집단(9.8·59.2%)을 웃돌았다.
연구팀의 김민지 노스웨스턴대 조교수(신경학)는 "야간 빛 노출과 발병 빈도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볼 수 있었다"고 이번 연구 의미를 설명했다.
필리스 지 박사도 "수면 중 빛이 밝을수록 더 늦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심혈관 또는 대사 장애 위험 역시 커진다"며 "수면 중에 노출되는 빛의 양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년층이 가끔 밤에 화장실에 갈 수도 있는 만큼 푸른색 계열보다는 노란색(호박색)이나 붉은색 계열의 야간 조명을 지면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을 권유했다.
국제학술지 '슬립'(Sleep)에 실린 이번 연구 결과를 전한 미국 CNN방송은 창문과 먼 곳에 침대 두기, 잠자리 근처에서 노트북과 휴대전화 충전하지 않기, 수면용 안대 착용 등을 조언했다.
walde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우리집에 숨어요"…美총탄 빗발칠 때 30명 구한 평범한 이웃 | 연합뉴스
- 40℃ 폭염…알프스 '만년 빙하' 붕괴 순간 포착
- 사람 잡는 '전역빵'…해군, 동료 폭행 병사 4명 구속
- "박찬욱 감독님, '헤어질 결심'은 29금인데요"
- 대통령실 "인사비서관 부인, 나토서 김건희 여사 수행 없었다"
- '공권력 의한 자녀납치 밝혀달라'…14억의 분노 부른 청원
- 시카고 총기난사범, 치밀 사전계획…"여장한 채 70발 난사"
- [톺뉴스] 공중전화부스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 | 연합뉴스
- 한강 하구에서 10살 전후 추정 아동 시신 발견
- 회사 사주 동거녀에 법카 사용비 7억 반환 소송 낸 업체 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