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1일 우주로 날아간 누리호와 위성이 천체망원경에 포착됐다. 누리호가 성능 검증 위성과 위성모사체(가짜위성)를 궤도에 무사히 올려놓았음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으로 누리호가 발사한 인공우주물체를 포착했다고 24일 밝혔다.
천문연이 공개한 사진에는 누리호의 맨 위 발사체 3단과 누리호가 우주궤도에 진입시킨 위성모사체(가짜위성), 성능 검증 위성이 찍혔다.
OWL-Net은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하는 관측 시스템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인 광학 감시 전용 시스템이다. 인공위성과 소행성, 우주 잔해물 등 지구 주변의 우주물체를 관측하는 역할을 한다.
관측소는 국내와 미국, 이스라엘, 모로코, 몽골에 있다. 천문연구원은 5개 관측소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모아 분석한다. 각 시스템은 지름 50cm 천체망원경과 CCD카메라, 그리고 망원경을 추적하는 물체 쪽으로 이동시키는 고속 위성 추적 마운트로 구성돼 있다.
천문연은 OWL-Net 중 모로코에 위치한 OWL-Net 2호기가 지난 22일 12시 52분 3초(한국 시각)와 13시 3분 26초 사이에 발사체 3단과 위성모사체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천문연구원 대전 본원에 위치한 OWL-Net 0호기는 23일 3시 49분 36초부터 3시 50분 23초 사이에 성능 검증 위성을 포착했다.
누리호가 발사된 지난 21일 오후 8시 미국 합동우주사령부 연합우주작전센터(CSpOC)는 이번에 포착한 우주물체 3개에 대한 첫 궤도 정보를 공개했고, 천문연은 이 정보를 공군으로부터 제공받아 바로 OWL-Net으로 추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천문연은 “OWL-Net으로 그동안 미국에 의존하던 인공위성궤도 자료를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며 “성능 검증 위성은 지상과 교신이 되므로 운영기관에서 정보를 잘 알고 있지만 위성모사체와 발사체 3단 부분은 다르다”고 밝혔다. 지상과 교신이 되지 않는 우주쓰레기나 소행성을 포착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한 것이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코로나 확산에, 마카오 카지노 성지 문 닫았다
- 이재용 딸, 이번엔 어머니 임세령과 샤넬 패션쇼 ‘1열 관람’
- EU “원전은 녹색 에너지”...택소노미에 포함 확정
- 의원 63명 연판장·개딸들 항의...민주 경선案 결국 친명계 뜻대로
- 문체부 산하 골프장, 시의원·경찰에 부킹 편의 의혹
- 美·英 등 40국 “우크라 재건비용 980조원… 러의 해외자산 써야”
- 한증막 더위...인천, 20년 만에 가장 이른 열대야
- “김일성 장군님 전투라 교과서에 안나와” 중학 교사 발언 논란
- 오세훈 “이준석 중도사퇴, 득보다 실이 더 많다...당의 다양성 훼손”
- “예비군 훈련, 출석 인정 안돼…시험으로 메우라”던 교수, 논란 일자 번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