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법원 "세대수 잘못 산정해 부과한 학교용지부담금 취소"
김종용 기자 입력 2022. 06. 26. 09:09 수정 2022. 06. 26. 13:30기사 도구 모음
학교용지부담금의 부과 기준이 되는 세대수를 산정할 때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세입자도 독립 가구로 계산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재판부는 학교용지부담금의 특성상 실제 거주하는 인구의 증가 여부가 중요하므로 다가구주택의 세입자를 개별 독립 가구로 계산하는 것이 합당하고 봤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학교용지부담금의 부과 기준이 되는 세대수를 산정할 때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세입자도 독립 가구로 계산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2부(부장판사 신명희)는 서울 은평구 A재개발조합이 은평구청장을 상대로 낸 부담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을 최근 원고 승소 판결했다.
A조합은 지난 2020년 은평구에 1464세대를 분양하는 규모의 정비사업시행·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12월 구청은 조합에 11억8000여만원의 학교용지부담금을 부과했다. 학교용지법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장은 택지개발 등 사업자에게 해당 지역 학교용지 확보를 위해 일정 금액을 부담시킬 수 있다.
학교용지부담금은 ‘새로이 분양하는 세대수’에서 ‘기존 거주하는 세대수’를 뺀 값을 기준으로 정한다. 임대주택 분양은 증가분에서 제외된다.
구청은 기존 세대수를 850세대라고 보고 학교용지부담금을 부과했다. 이는 교육부 해석례에 따라 모든 다가구주택을 1개 세대로 계산한 결과다. 1195세대 중 345세대의 세입자 가구가 계산에서 빠졌다.
구청 측은 “다가구주택 세입자는 주로 단독주택 일부 공간을 임차해 생활하는 1인 가구인 관계로 학교 수요를 유발할 가능성이 없고, 주거 안정성이 낮아 정비사업 이후 다른 곳으로 이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반면 조합은 기존 세대수를 1195세대로 계산했다. 이 경우 임대주택 분양분을 제외하면 증가하는 세대수가 없으므로 부담금을 낼 필요가 없다.
재판부는 학교용지부담금의 특성상 실제 거주하는 인구의 증가 여부가 중요하므로 다가구주택의 세입자를 개별 독립 가구로 계산하는 것이 합당하고 봤다. 교육부 해석례는 행정기관 내부의 해석기준에 불과해 정당한 판단 기준이 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구청이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독립 가구의 수를 직접 조사하지도 않은 채 건축물대장만을 기초로 부담금을 부과한 것이 부당하다며 구청이 부과한 학교용지부담금 전액을 취소하라고 판결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삼성·LG, OLED 집중하는 이유 여깄네… 모니터·태블릿·자동차 수요 급증
- “46년 레미콘 생산” 삼표산업 성수공장 역사 속으로
- 호텔비 먹튀한 에바종, 방콕서는 “파산” 주장…프랑스인 대표는 ‘모르쇠’
- [단독] 중독성 ‘헤로인 100배’ 펜타닐 패치… 작년에만 10대에 3000건 처방
- 서울 장위10구역 교회 보상금에 쏠린 시선… “재개발 비용 커질 것” 우려도
- [비즈톡톡] ‘탑건·한산’ 업은 롯데, CJ의 ‘칸 트로피’ 넘어섰다
- 45조 軍 로봇 시장 잡아라… K방산, 군용 로봇 개발에 매진
- 美 연어 기업 찾은 최태원 “이산화탄소 줄이고, 바다 생태계 보호”
- [K바이오리더] 한승만 베르티스 대표 “인간 단백질로 췌장암⋅난소암 조기 진단… 내년 진단 솔
- “이게 노예계약 아니면 뭐냐”… 이직 자유가 없는 공인중개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