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고려시대 이후 1000년 흔적 담긴 터
74년간 정성들여 가꾼 7만여 평 경내
5만여 그루 나무, 역사의 현장 지켜봐
조선 궁궐에 전통적으로 담긴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의 미(美)가 경복궁 후원인 청와대터 환경에도 고스란히 남아있고, 마치 비무장지대가 그렇듯 도심 한가운데 7만평 규모로 통제되고 보존된 야생의 내음이 나는 도심 속 허파다.
◆작은 DMZ 청와대라는 숲
고려시대 삼경 중 남경 시절부터 내려온 1000년 역사의 흔적이 자연 속에도 남아있고, 남한단독정부 수립 이래 74년간 정성들여 가꾼 정원이 있다. 본관 앞 대정원과 본관 오른편에 있는 소정원, 녹지원 등 스스로 주의를 환기시키는 기품 있는 정원들은 물론이고, 모르고 보면 전혀 안 중요해 보이는 영빈관 가는 길 화단에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심은 나무가 있는 등 곳곳이 보존 대상이다. 7만평 경내가 통째로 대통령의 정상외교와 내치업무가 이뤄진 업무공간이었음을 잊어선 안 된다.
‘청와대 나무와 풀꽃’ 발간사에 “청와대에 5만여 그루의 나무가 살고 있다. 연 27만명 관람객이 들어오는데 수목에 담긴 특별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고, 나무와 풀꽃, 식재된 위치와 사연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직무에 활용할 마땅한 교재가 없음이 안타까워 책자를 발간하게 됐다”는 주영훈 당시 경호처장의 언급이 나온다.
청와대 관람객들은 무심코 지나가곤 하는 자연환경이 예비 천연기념물이나 잠재적 자연유산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특히 ‘자연물도 문화재’라는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일은 글로벌 시민의식의 필수다.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을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분류하고, 별도의 협약으로 무형유산까지 정의한다.
국내에서는 일본에서 따 온 문화재라는 말이 연상시키는 범위가, 과거 유물의 재화적 가치에 머물러 한정적이라는 지적이 꾸준했다. 이에 지난 4월부터 우리나라도 문화재란 단어 대신 ‘국가유산’으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
특히 문화재라는 용어가 자연물(천연기념물(동식물·지질)·명승(경관))도 문화재라는 대중적 인식을 자리 잡게 하기 어렵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 이제 문화재는 국가유산이라는 포괄적 개념하에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분류체계가 개선됐다.
우리나라에선 특히 대통령과 나무의 인연도 고유하다. 전쟁의 한복판이었던 땅에서 정부를 일군 우리나라는 벌거벗은 민둥산을 푸르게 만드는 게 국가의 지상과제 중 하나였다. 식목일을 제정하고 대통령들은 나무 심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 식목일마다 청와대에서 나무심기 행사를 하고, 식목일이 아니어도 정치적 의미를 새기려 나무를 심었다.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을 기념해 심은 나무들이 대표적 사례다.
‘청와대 나무와 풀꽃’의 집필자인 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에 따르면, 대통령들은 임기 중 4, 5그루씩 심어 현재 40그루 정도인 ‘대통령의 나무’를 남겼다.
대통령 기념식수는 이승만 대통령 시절부터 있었을 테지만 남아있는 건 1978년 12월 박정희 대통령이 심은 가이즈카향나무가 가장 오래된 나무다. 그 이전 기념식수는 남아있지 않다.
각 대통령이 아니라, 대한민국 대표공간으로서 의미가 담긴 공간도 있다. 한때 유실수 단지라 불린 친환경 시설단지가 있는데, 전국 10개 시·군에서 2009년부터 선정해 가져온 지역의 대표 유실수를 모아놓았다. 전남 구례 산수유나무, 경남 하동의 매화나무, 강원 고성 머루, 충북 보은 대추나무, 경기 안성 포도, 충남 천안 배나무, 전북 익산 석류나무, 경북 영주의 사과나무, 경북 포항의 단감나무, 경북 김천의 자두나무가 있다.
◆최고령 수목부터 특이 수목까지
청와대에서 제일 유명한 나무는 수궁터에 있는 주목이다. 740년 넘게 살아남은 최고령 수목이어서다. 고령 수목들이 특히 소중한 이유는 경복궁 후원을 일제가 파괴한 탓에 역사의 흔적을 말해줄 고목이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박 교수에 따르면, ‘붉은 나무’라는 뜻의 주목은 원래 높은 산꼭대기에서 자라며 오래 사는 나무로 유명하다. 극한 환경에서 오래 버티다 보니 주목 고목은 흔히 몸체가 비틀어지고 꺾어지고 때로는 속이 모두 썩어버려 텅텅 비어 있는 경우가 많다. 청와대 수궁터 주목도 부실해 이런 모습으로 살아있는 것이 기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살아 천년, 죽어 천년’ 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나무여서, 실제로 강원도 정선에는 1400살 된 주목(천연기념물 제433호)도 있다. 박 교수는 주목의 세포가 단 2종으로만 이뤄져 있는 단순함을 험난한 자연 속에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을 비결 중 하나로 소개한다. 또 조선시대 과거에 급제하면 공부하던 집 마당에 심었다는 회화나무가 녹지원 숲 용충교 옆에 있는데, 이 나무는 수령이 230년에 달한다. 이 나무의 별칭은 ‘실세나무’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단독] “4학년 때부터 16년간 성폭력”…독거노인 돌보는 선교사의 두 얼굴
- “특정 멤버가 괴롭혀”…제시카 소설 ‘브라이트’, 소녀시대 이야기 담겼나
- ‘땀냄새 엄청’ ‘생긴 거 비호감’ ‘페라리 타’…강남 ‘키스방’ 장부에 적힌 9300명 신상
- “2년 전 시세로 돌아갔네요” 주택시장 위기 전조?
- 교차로 뛰어들어 멈춘 택시에 몸통 박치기…어설픈 女 행동에 “보험사기 의심” [영상]
- 고민정, 尹 향해 “호가호위 말라”… 與 “‘호의호식’ 실수?” “중국어학과 출신 인재의 희생”
- “잘 치워봐~” 편의점서 남은 음식 널브러뜨리고 약 올린 10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