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는 근거없는 중상", 아베의 생전 망언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8일(현지시간)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동기가 밝혀지지 않은 총격으로 사망했다.
아베 전 총리는 집권 자민당 소속으로 장기간 재임하면서 일본 사회 우경화에 지대한 공을 세운 인물로 평가된다.
아베 전 총리는 임기 내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성과 일본군의 직간접 관여를 처음으로 인정한 일본 정부 '고노 담화'에 반하는 발언을 수차례 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정가는 애도 표시
일반 시민들 사이에선 추모 분위기 읽기 힘들어
아베 전 총리는 임기 내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성과 일본군의 직간접 관여를 처음으로 인정한 일본 정부 ‘고노 담화’에 반하는 발언을 수차례 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2014년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의회에서 “근거없는 중상”이라고 주장하는가 하면, 일본군 개입이 역사적으로도 인정되는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인신매매”로 표현해 일종의 민간 범죄로 규정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2016년에는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해 사죄 편지를 보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털끝만큼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답해 사죄 거부도 분명히 했다.
아베 전 총리는 더 나아가 일본제국의 침략 전쟁에 대해서도 “침략이란 정의는 학계에서 정해진 바 없다”는 인식을 드러내 일본 재무장, 군국주의화를 위한 열망도 수시로 드러냈다. 이같은 인식은 일본 우익들로부터 지지를 얻어 임기 내 그의 정치적 인기를 뒷받침하기도 했다.
실제로 아베는 재무장을 위한 평화 헌법 개정을 시도하면서 “우익 군국주의자로 불러도 좋다”고 대놓고 말한 적도 있다. 박근혜 정부 당시 일본 주간지를 통해 아베가 “한국은 어리석은 국가”라고 말했다는 보도 또한 유명하다.
장영락 (ped19@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총격 피습으로 결국 사망
- "합성 너무 불쾌"…대통령 등신대, 이미지 도용 논란
- 아베는 왜 경호받지 못했나…日 전직총리 예우 범위는
- 박효신 내걸고 "성범죄 변호 성공, 신상방어"…무슨 일?
- 박지현에 입 연 이재명 “기대와 다르다고 비난하는 건…”
- “언니가 범인이죠?” 가양역 실종女 친언니가 공개한 악성문자
- [팩트체크]‘식물 대표’ 이준석, 징계처분권 있나 없나
- "칼 들고 있다"…대순진리교 대치 상황 속 폭행, 피해자 6명
- 전처 사망하자 혼인신고를?…60대男 해명은 "생전 약속"
- 아베 저격 현장 목격자…"뒤에서 바주카포같은 총으로 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