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관저' 모형 복원한다? 납득 힘든 청와대 활용법
시민에게 개방된 청와대를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지 윤곽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관저로 쓰였던 건물을 모형으로 복원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논란입니다. 한때 청와대 본관으로 쓰다 철거해서 없어진 건물입니다.
이수진 기자의 보도를 먼저 전해드리고, 한 걸음 더 들어가겠습니다.
[기자]
빛바랜 사진 속, 이 건물은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의 총독이 살던 곳입니다.
1939년, 일본은 조선의 왕궁을 지키는 수궁의 자리에 총독의 관저를 세웠고, 이 건물은 해방 이후 미군 사령관, 그리고 이승만 대통령의 집무실로 쓰였습니다.
[대한뉴스 (1991년) : 일제가 총독 관저로 지은 집을 대통령 관저로 사용하는 것은 민족 자존에도 어긋나는 일이라며…]
청와대는 50년 넘게 조선 총독 관저 건물을 품고 있다 1993년이 돼서야 철거에 나섰습니다.
[대한뉴스 (1993년) : 총독 관저였던 청와대 옛 본관도 헐도록 조치함으로써 민족 자존심을 되찾는다는 결단으로…]
그러나 철거된 지 29년 만에 다시 모형으로 복원하겠다는 얘기가 나왔습니다.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옮겨간 뒤 청와대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다 내놓은 청사진 중 하나입니다.
총독 관저이기도 했지만, 더 오랜 기간 과거 대통령들이 사용했기에 권력의 순간을 실감하는 스토리텔링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올바른 결정이냐는 비판이 뒤따릅니다.
[최종덕/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 : 원래 목적은 조선총독관저였잖아요. 의미를 그렇게 부여하는 건 확대 해석 같은데요.]
[안창모/경기대 건축학과 교수 : 보통 그런 경우는 건물이 남아 있을 때 하는 논쟁이지 없어진 거를 복원까지 해야 하느냐…]
문체부는 JTBC의 질의에 "옛 본관 복원은 2분의 1이나 3분의 1 정도 크기의 모형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가 논란이 커지자 "미니어처 제작을 검토한 것 뿐"이라고 말을 바꿨습니다.
(화면출처 : e영상역사관·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영상그래픽 : 김지혜·한영주)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총독관저' 모형 복원한다? 납득 힘든 청와대 활용법
- [이슈체크] 다단계 하청 뒤에 숨은 '진짜 주인'…발빼거나 떠밀거나
- '불법촬영' 민주당 9급, 사직 반년 만에 8급으로 복직
- 정신병력 30대 딸, 흉기로 부모 살해…"귀신이 시켰다" 진술
- 조국이 없앤 '검찰 티타임' 되살린 한동훈…'묘한' 시점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