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규제' 엄포에 구글·MS, 글로벌 본부 법인 日 등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13개 다국적 정보기술(IT)기업들이 일본에 글로벌 본부 법인 등록에 돌입했다고 일본 영문매체 닛케이아시아가 2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닛케이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이달 22일까지 다국적 IT기업 13곳이 일본 법인등기를 신청했다.
지난 3월 일본 법무성은 다국적 IT기업 48곳에 자국 내 법인등기를 요구했다.
하지만 일본 법인등기가 완료된 기업이라면 간단한 절차만 밟아서 해결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 자국민 편의 위해 법인등기 요구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13개 다국적 정보기술(IT)기업들이 일본에 글로벌 본부 법인 등록에 돌입했다고 일본 영문매체 닛케이아시아가 2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닛케이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이달 22일까지 다국적 IT기업 13곳이 일본 법인등기를 신청했다. 이중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한 6개 기업이 25일 기준으로 등기 신청을 완료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다국적 IT기업을 향한 규제를 예고했다. 지난 3월 일본 법무성은 다국적 IT기업 48곳에 자국 내 법인등기를 요구했다. 6월에도 법무성은 이들 기업에 법인을 등록할 것을 재차 지시했다. 이들 기업은 총무성에 전기통신사업자로 신고했을 뿐 법인등기는 하지 않았다. 법무성은 법인등기 없이 일본에서 하는 사업을 불법행위로 판단하고 있다.
일본의 회사법은 외국 기업이 일본에서 사업하기 위해선 대표자를 정하고 영업소의 주소를 등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어길 시 100만엔(약 962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매길 수 있다. 앞서 6월 일본 정부는 법인등록 요청을 거부하거나 무시한 7개 기업에 과태료를 부과하라고 도쿄지방재판소에 요청했다.
일본 정부의 이 같은 법인등기 요구는 자국민 편의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일본 정부는 인터넷에서 악의적 댓글을 단 가해자의 신상정보 특정 절차를 간소화하는 프로바이더(인터넷 제공자) 책임 제한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법안이 개정되더라도 외국에 본사를 둔 기업은 정보 공개 요구에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일본 법인등기가 완료된 기업이라면 간단한 절차만 밟아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일부 기업들은 법인세가 늘어날까 우려해 법인등기를 주저하고 있다. 이에 법무성은 일본 주재 본사 대리인의 권한이 제약적이라면 법인세를 늘리지 않도록 허용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도 제한’에 비상 걸린 목동 재건축…“고도기준 강화 안 돼…김포공항 이전해야”
- 韓 부품업계 어쩌나… 현대차 ‘美 현지 공급망 구축’에 타격 불가피
- 도요타와 가격 같아진 현대차… “관세 15%로 못 낮추면 美서 경쟁 어려워"
- 삼성전자·네이버·현대차 제쳤다… SK하이닉스, 대학생 선호 직장 첫 1위
- [재테크 레시피] 1억원까지 안전한 3%대 정기예금? 저축은행에는 있다
- 신형으로 개량된 ‘한국형 패트리엇’ 천궁Ⅱ 첫 배치
- [Why] 점점 낮아지는 소주 알코올 도수… ‘사실상 가격 인상’ 비판 이유는
- 그룹은 보수적인 이미지 지켜왔는데… 삼성자산운용, 과장광고 논란
- [100세 과학] 50세 전후로 노화 속도 빨라진다
- IBK證 “세진重, HD현대重 군산조선소 ‘MRO 기지’ 되면 수혜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