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조선총독부 복원 논란..박보균 잘못 일부 시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와대 활용방안이라면서 조선총독부 관저 모형 복원을 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된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8일 "부적절 요소가 있었다"며 잘못을 일부 시인했다.
박 장관은 이날 오후 속개된 21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모형 제작이라고 했으면 될 걸 복원이라고 해서 과거총독부 논란을 자초한 것"이라는 홍익표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의 지적에 이같이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와대 활용방안이라면서 조선총독부 관저 모형 복원을 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된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8일 “부적절 요소가 있었다”며 잘못을 일부 시인했다.
박 장관은 이날 오후 속개된 21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모형 제작이라고 했으면 될 걸 복원이라고 해서 과거총독부 논란을 자초한 것”이라는 홍익표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의 지적에 이같이 밝혔다.
홍 위원장은 “미니어처 복원이란 말을 쓰지 않는다”며 “문체부가 논란의 원인을 제공한 측면이 있다. 처음부터 모형 제작이라고 했으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것을 복원이라고 해서 과거 총독부를 다시 만드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자초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박 장관은 “미니어처 제작도 외국의 경우 복원의 개념에 들어간다”면서도 “그런 측면이 있다. 부적절한 요소가 있었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한편 이날 민주당에선 박 장관을 향한 민주당 위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유정주 민주당 의원은 “모두가 반대하는 조선총독부 관저를 미니어쳐 (모형으로) 제작한다고 한다. 조선총독부 관저를 왜 문체부가 나서서 복원하는 것이냐”고 따져물었다.
이개호 민주당 의원은 “그 건물은 본질이 일제 때 건축된 것”이라며 “뭐라고 말씀하셔도 조선총독부 관저다. 역사화 과정이라는 이유만으로 가치중립적으로 판단해 복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 장관은 “43년간 우리 대통령 역사문화 모습이 현재 청와대에 없다. 옛날 건물을 조그마한 미니어쳐로 만들어 2층 대통령 집무실과 숙소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