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달 향해 순항하는 다누리..현실로 다가온 '우주강국의 꿈'

연합뉴스 입력 2022. 8. 5. 15:22 수정 2022. 8. 5. 15: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달 향하는 다누리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5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 모니터에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발사 관련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2022.8.5 hwayoung7@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가 5일 우주로 발사돼 5개월의 여정을 시작했다. 이날 오전 8시 8분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발사된 다누리는 순조로운 분리 절차를 거쳐 오전 9시 40분께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다누리는 지구에서 38만km 떨어진 달로 곧장 가지 않고 태양 쪽의 먼 우주로 가서 최대 156만km까지 거리를 벌렸다가 나비 모양의 궤적을 그리면서 돌아와 달에 접근할 예정이다. 이를 '탄도형 달 전이방식'(BLT)이라 하는데, 천체의 중력을 이용해 추진력과 운동량을 얻기 때문에 연료 소모가 적고 임무 수행 기간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다누리는 오는 12월 16일 달 주변을 도는 궤도에 들어서고, 같은 달 31일 목표 궤도인 달 상공 100㎞에 안착한 뒤 내년부터 임무 수행을 시작한다. 이 모든 과정이 성공하면 한국은 달 탐사선을 보낸 세계 7번째 나라로서 우주 강국의 지위를 굳히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오후 2시 기준으로 다누리가 달 전이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5개월 여정의 1차 관문을 무사히 통과한 것이다.

다누리는 달 상공에 도착한 이후 1년간 하루 12번씩 궤도를 돌면서 주로 달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고해상도카메라가 찍어 보내는 달 표면 영상은 달 착륙선 후보지 탐색에 활용된다. 우리 정부는 2030년 초까지 1.5t급 달 착륙선을 개발해 발사하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달 표면의 입자 관찰, 자원 탐사 등을 위한 장비도 실려 있는데 주목할 만한 것은 우주인터넷 관련 장비다. 이를 활용한 심(深)우주 탐사용 우주 인터넷시험((DTN, Delay/Disruption Tolerant Network)이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것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달 궤도와 지구상에 있는 우주인터넷 노드 사이에서 메시지와 파일을 전송하고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할 예정이다. 우주인터넷 기기에 ETRI 홍보영상, DTN 기술 설명 영상을 비롯해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노래 '다이너마이트'(Dynamite) 파일이 저장돼 있다고 하니, 달에서 재생한 BTS의 노래가 지구촌 곳곳에서 울려 퍼질 수 있을지 기대된다. 다누리에 탑재된 6종의 과학 장비 중 5종이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고 한다.

'다누리'는 순우리말 '달'과 '누리다'의 '누리'가 더해진 이름이다. 달을 남김없이 모두 누리고 오길 바라는 마음과 최초의 달 탐사가 성공하길 기원하는 의미가 담겼다. 우리나라가 달 탐사선을 띄운 것은 한국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호의 발사 이후 30년 만이니 실로 감개무량한 일이다. 다누리는 본격적인 임무 수행에 앞서 여러 차례의 까다로운 궤적 보정 기동과 감속 기동 등 넘어야 할 산들이 있다. 하지만 그러한 과정의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가 달 탐사선을 띄운 것만으로도 의미가 적지 않다. 안형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동안 우리가 만든 물체를 지구에서 가장 멀리 보낸 것(정지궤도위성)이 3만6천㎞였는데, 달까지 거리인 38만㎞까지 우리의 영토를 확장하는 셈"이라고 했다. 우리나라도 심우주 탐사의 첫발을 떼면서 이른바 '우주 영토'를 갖게 됐다는 얘기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성공적 발사(6월 21일)에 이어 다누리호 발사가 성공하면 올해가 한국의 우주탐사 원년으로 기록된다는 의미도 있다.

우주는 무한대로 펼쳐진 '기회의 땅'이다. 모건스탠리는 2020년 3천870억 달러였던 우주 시장이 2040년에는 1조1천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 발사될 위성은 1만7천여 기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다누리가 발사된 이날 하루만 해도 미국에서 3건의 우주 발사가 이뤄졌다. 미국이나 중국이 연간 수백억 달러를 우주 개발에 쏟아붓는 것은 우주가 인류에게 남은 마지막 블루오션이란 인식 때문이다. 우리도 우주 강국에 다가서고 있지만, 세계 우주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1%에도 못 미친다. 지난해 한국의 우주 개발 예산은 6억 달러에 그쳤는데 세계 10위권인 경제 규모와 비교하면 매우 아쉽다. 윤석열 정부는 여러 부처의 우주 관련 부서를 통합한 '우주항공청' 설립을 추진 중이다. 우주 개발 인력과 역량을 체계적으로 키우려면 컨트롤타워가 필수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나 중요한 것은 내실이다. 민간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 발맞춘 중장기적 전략과 이행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