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식용 개 연간 39만 마리 도축..찬반 팽팽
[앵커]
어제(15일)가 말복이었죠.
복날 때마다 늘 되풀이되는 논쟁이 있습니다.
바로 개고기 찬반 문제인데요.
동물학대냐, 전통 식문화냐, 여러 의견 속에서 결론을 내기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식용 개 산업 실태와 여론은 어떤지, 경제부 장혁진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장 기자, 개고기를 파는 식당들이 엄연히 있잖아요?
그런데 이런 식당들이 불법이란 말도 있던데, 법적인 문제 먼저 정리해주시죠.
[기자]
엄밀하게 보면 개고기 자체는 불법입니다.
식품위생법에서는 식품으로 쓸 수 있는 원료들을 정해놓고 있는데요,
여기서 보면, 소와 돼지, 말, 칠면조 같은 축산물은 포함돼 있는데, 개는 포함 돼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개고기를 팔면 식약처가 행정처분을 내릴 수 있는 거죠.
그런데 축산법에서 개는 '가축'으로 분류되는데요.
사실상 식용 목적으로 개를 기르더라도, 일정 조건을 갖추면 개 농장은 합법적으로 운영될 수가 있습니다.
식용 개 산업은 완벽한 불법도, 합법도 아닌 모호한 경계에 있는 셈이죠.
[앵커]
불법도 합법도 아니다, 그럼 정부 차원에서 제대로 된 실태조사도 없었겠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우리 사회가 개 몇 마리를 음식으로 소비하는지, 제대로 된 통계 자체가 없었어요.
그러다 정부가 올해 초에 처음으로 현장 조사를 벌였는데, 그 결과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식용 목적으로 개를 기르는 농장은 1,150여 곳이었고요.
이곳에서 52만 천여 마리가 길러지고 있었습니다.
음식점 수는 천6백여 곳에 달했고요.
1년에 약 39만 마리가 도축돼 음식으로 소비되고 있었습니다.
[앵커]
39만 마리가 보신탕 같은 음식으로 도축되는군요.
생각했던 것보다는 꽤 많은 것 같은데 개고기에 대한 여론은 어떤가요?
[기자]
개 식용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사회적 합의 기구가 대국민 인식조사를 진행했어요.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개고기를 먹지 않고, 앞으로도 먹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 중단해야 하느냐는 질문엔 절반을 조금 넘는 국민이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또 개 도축 합법화에 대해선 여기서도 반대가 절반을 넘긴 하지만, 찬성 의견도 거의 40%에 육박했습니다.
본인은 먹지 않겠다면서도 아예 불법화하고 중단해야 한다는 것에 찬성 비율이 절반을 조금 넘는 걸 보면 개 식용 문제를 본인의 선택에 맡겨야 한다는 생각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앵커]
그래서인가요?
위원회에서 이런 실태조사까지 하고도 결론을 못 내리고 있다는 거잖아요?
[기자]
네, 육견 업계도 점차 종식될 거고, 조건만 맞는다면 그 종식이 빨라질 수도 있다는 의견은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몇 가지 조건을 내걸고 있어요.
이분들 얘기를 먼저 들어보겠습니다.
[손원학/대한육견협회 사무총장 : "한꺼번에 (개 농장을) 없애면 이제 생존 기반을 잃는 거고 덩달아 거기에 따라서 사료 업체, 음식물 업체, 약품 업체, 기자재 업체 수십만 자영업자들이 생존의 벼랑으로 내몰리는 거죠."]
육견업계는 동물단체에서 민원 제기를 하지 말아달라.
그리고 사료로 쓰이는 잔반을 지금처럼 신고만 하면 가져갈 수 있도록 해달라. 이렇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축사 철거 비용과 다른 가축을 기르려 할 때 정부가 지원해줄 것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개 농장주의 평균연령을 조사해봤더니, 약 64세로 나왔는데요.
고령이라 업종 전환도 어려워서, 생계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분들 입장도 이해가 안 가는 건 아니네요.
그런데 정부는 이런 조건들 받아들일 수 있는 겁니까.
[기자]
2~3개 조건 정도는 검토해보겠단 입장입니다.
예를 들어 개 도축장을 흑염소 도축장으로 전환하면, 법률 지원, 금융 혜택 등을 검토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철거·전업 비용도, 일찍 문을 닫는다면 지원에 긍정적인 입장이고요.
하지만 무허가 축사 양성화라든지, 농지법 위반 등 불법인 부분을 인정해줄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앵커]
그렇다고 위원회에만 논의를 맡겨놓고 기다리는 게 맞을까요?
[기자]
물론 이 문제가 쉽게 결론이 안 날 문제긴 합니다.
동물보호단체 얘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조희경/동물자유연대 대표 : "현행법이 있는데 왜 이 현행법을 자꾸 고려하지 않고 새롭게 그 금지를 위한 어떤 절차를 만들려고 하는지, 이게 지금 정부가 좀 너무 모호한 태도다, 그렇게 봐야 돼요."]
지금까지 개 식용 문제를 두고 많은 사회적 비용을 치러왔습니다.
전통 식문화, 개인 기호 문제와, 윤리나 가치관의 문제까지 뒤섞여 있거든요.
다만, 위생이 관리 안 되거나 사육, 도축 과정에서의 학대 문제는 바로 잡을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는 항상 '사회적 합의가 먼저다'라는 대답만 반복하는데, 의지를 갖고 해결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장혁진 기자 (analogue@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여론조사] 與 비대위 전환 “잘못한 것” 52%, 지지층은 “잘한 것” 55%
- 中 스텔스기 내세운 ‘중국판 탑건’ 나온다…‘애국주의 흥행’ 가세?
- [속보영상] 빌 게이츠 “한국, 선도적 역할 적임자”…‘코로나 국제공조’ 국회 연설
- ‘5년 간 270만 호 공급’…민간 정비사업 활성화로 도심 공급 확대
- 김구 살린 고종의 전화 한 통…‘덕률풍’으로 걸었다
- [영상] 상하이 이케아 필사의 탈출…무슨 일이?
- “‘네버 코비드’, ‘코로나 비감염’으로 쓰세요”
- [현장영상] 박지원, ‘檢 압수수색’에 “전화·수첩 5권 가져가…망신 주려는 것”
- [취재후] “위패 모셔서” 안장 거절된 6·25 전사자, 71년 만에 국립묘지로
- ‘北 선전화’에 담긴 ‘방역 승리’ 선언의 의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