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작년 "인플레 일시적" 망신 당한 파월, 올 잭슨홀에선?

이정훈 2022. 8. 22. 11: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준 최대 컨퍼런스 잭슨홀 미팅, 25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파월, 26일 오전 10시 연설..매파적 본색 강하게 드러낼 듯
작년 "인플레는 일시적" 외쳤다가 '뒷북 대처'로 도마 위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이번주 25일(현지시간) 사흘 간의 일정으로 와이오밍주의 휴양지 잭슨홀에서 미국 최대 중앙은행 컨퍼런스인 잭슨홀 미팅이 열린다. 최근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2년 간엔 별다른 이슈가 없었지만, 올해는 가파르게 치솟는 인플레이션과 그에 맞선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는 상황이라 주식시장을 잔뜩 긴장시키고 있다.

전문가들도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나 경제학자들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이 쏟아지면서 증시 하락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잭슨홀 미팅 휴식시간 중 대화하는 파월(왼쪽)

미국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이 매년 8월 말이면 미 연준과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경제 전문가들을 잭슨홀에 불러 모아서 개최하는 잭슨홀 미팅이 올해엔 25일 막을 올린다. 과거 연준의 굵직한 정책 발표가 이뤄졌던 경험이 있는데다 올해엔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확산으로 통화정책 대응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다 보니 `경제와 정책에 대한 제약조건 재평가`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전망이다.

시장이 주목하는 파월 의장의 연설은 둘쨋날인 26일 오전 10시에 진행되는데, 이날 연설에서는 미국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정점을 찍고 내려옴)과 향후 경기 침체 가능성, 통화정책 행보에 대한 그의 생각을 읽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잭슨홀 미팅은 1982년부터 통화정책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로 자리 잡은 뒤 작년까지 총 41차례 열렸고 올해가 42회째다. 첫 회의에는 폴 볼커 당시 연준 의장이 참석했고, 1989년부터는 앨런 그린스펀 의장이 메인 연설자였다. 다만 당시엔 연준 의장들의 발언은 원론적 수준이었던 터라 큰 관심을 끌진 못했는데, 1990년대 후반이 돼서야 비로소 잭슨홀 미팅과 금융시장 간 관련성이 커졌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열린 잭슨홀 미팅은 단연 관심이 높았다.

2007년엔 벤 버냉키 의장이 나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금융위기로는 번지지 않을 것 같다”고 예견했지만, 바로 다음 해에 잘못된 전망이었음이 입증돼 망신을 당했다. 2008년엔 “달러화 강세와 낮은 국제유가로 인해 기준금리가 계속 동결될 것”이라고 시사하면서도 “인플레이션 전망은 매우 불확실하다”고 했다. 당일 주가지수가 급등했지만, 한 달 뒤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터진 것은 예견하지 못했고 이후 한 달 내내 주가는 빠졌다.

잭슨홀 미팅의 위상을 가장 높인 해는 2010년이었다. 이 자리에서 버냉키 의장은 “미국 경제가 필요로 할 경우 추가적인 비전통적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며 처음으로 2차 양적완화(QE)를 예고했고, 실제 두 달 쯤 지나 2차 QE를 공식 도입했다. 버냉키 발언 당일 주가지수는 100포인트 이상 급등했고 이후로도 한 달 내내 큰 폭으로 뛰었다.
연도별 잭슨홀 미팅 후 30일까지의 S&P500지수 등락

이와 달리, 올해 파월 의장의 발언은 매파적일 것이고 주가를 끌어 내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사실 헤드라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에 불과했고 실업률은 8.4%에 이르렀던 2020년 파월 의장은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지속적인 저금리와 양적완화를 통해 경제를 회복시키겠다”는 발언으로 시장을 안심시켰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2%까지 치솟았던 작년엔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것”이라며 현 인플레이션 상황을 잘못 인식하는 오류를 범했다.

올해 회의에서 이를 지적하는 학자들의 발언이 쏟아진다면 파월 의장은 자신을 변호하면서도 앞으로는 인플레이션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지 않겠다는 식의 발언을 내놓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가장 최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5%에 이르고 있고, 실업률은 3.5%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제이 브라이슨 웰스파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데 전념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할 것”이라며 “물론 올해나 내년에는 불가능하겠지만, 물가 상승률을 목표치인 2%까지 낮추려고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JR 곤드넥 더 레너그룹 파트너 역시 “파월 의장은 작년과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으려 할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인플레이션이 미국 경제 깊숙이 내재화되지 않도록 하는 점에만 신경쓸 것”이라고 내다봤다.

토니 크레센치 핌코 수석 부사장 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만약 지금 누군가가 연준의 금리 인상 행보가 끝나간다고 기대하고 있다면 이번 잭슨홀 미팅에선 그런 징후를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연준은 금리 인상 사이클을 단번에 끝내기 보다는 일단 인상을 멈춘 뒤 상황을 지켜보면서 필요하면 다시 인상할 수도 있는 그런 전략을 쓸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럴 경우 시장에 충격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줄리언 이매뉴얼 에버코어ISI 주식 리서치 대표는 “이번주 가장 중요한 이벤트는 잭슬홀 미팅이 될 것”이라며 “여름철 시장 참가자들의 이탈과 밈 주식 급락에 따른 부정적 영향 등에다 연준의 매파적 발언까지 겹쳐질 경우 시장은 또 한번 조정을 겪을 위험이 충분히 있다”고 경고했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