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요양 받으러 간 곳, 학대당한 노인..비대면 틈 속 '사각'
홍승연 기자 입력 2022. 01. 22. 20:21 수정 2022. 01. 22. 21:09기사 도구 모음
최근 일부 노인요양시설에서 학대하고, 폭행하는 영상이 공개돼 충격을 줬습니다.
노인요양시설 10곳 중 3곳이 CCTV가 없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한 해 드러난 시설 노인 학대만 600여 건,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잇따른 노인요양시설 내 학대사건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지역 노인보호전문기관을 확충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앵커>
최근 일부 노인요양시설에서 학대하고, 폭행하는 영상이 공개돼 충격을 줬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가족 면회도 어렵고 현장 점검도 비대면으로 이뤄지다 보니 허점이 생긴 것입니다.
홍승연 기자가 취재합니다.
<기자>
여럿이 달려들어 80대 노인의 머리채를 잡고 흔들고, 15분 넘게 폭행과 결박이 이어집니다.
지난달 29일 경북 김천의 한 주간보호센터에서 일어난 일로, 경찰 조사 결과 피해 노인은 3명으로 늘었습니다.
얼마 전 제주의 한 요양시설에서도 80대 치매 노인을 바닥에 내동댕이치는 장면이 CCTV에 고스란히 찍혔습니다.
[폭행 피해 가족 : 다른 피해자가 나오면서 상습이라는 게 확실해졌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만약 할머니에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지금도 계속해서 학대를 하고 있었을 수도 있겠다.]
CCTV가 설치된 곳은 그나마 다행입니다.
노인요양시설 10곳 중 3곳이 CCTV가 없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족들의 대면 면회마저 어려워진 상황.
지자체의 현장 점검도 대부분 비대면으로 이뤄졌습니다.
[서귀포시 관계자 : 전에는 생활실 가보기도 하고 어르신 보기도 하고 그랬었는데 요즘은 아예… 시설에서도 되게 조심스러워하고 있고 민감하게 생각하고.]
정기적으로 해왔던 입소자 면담 역시 중단된 상태입니다.
한 해 드러난 시설 노인 학대만 600여 건,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초의수/신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가족들의 현장 접근이 거의 2년 동안 굉장히 제한을 받았고 시설에 대한 방역체계 때문에 더 폐쇄적으로 운영됐을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았습니까. 드러나지 않은 일들은 훨씬 더 많을 겁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잇따른 노인요양시설 내 학대사건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지역 노인보호전문기관을 확충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정경문)
홍승연 기자redcarrot@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SBS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예술이 당기다-세계관이 대체 뭐기에
- “어떡해!” 스키 리프트 공포의 역주행…부상 속출
- 하루 만에 “사망 3배 늘었다”…은폐 사실로 드러난 중국
- “독도 연상” 이유로 문 대통령 설 선물 반송한 일본대사
- '고위험 감염자' 빨리 찾아내 치료한다
- 한 달 만에 확진 7천 명대…'새 방역체계' 전환 임박했다
- 연락 끊긴 확진자에 긴급 출동…“반려견 산책” 휴대폰 두고 외출
- 고1 이다은, '국가대표' 서효원 · 이시온 꺾고 종합탁구 4강행
- 마스크 한 장을 5만 원에 판매?…'궁금한 이야기 Y', 수상한 약사 추적
- 넷플릭스 CEO, '오징어게임' 시즌2 공식화…“유니버스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