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교육감 후보 29%는 기후·환경 공약 실종 [심층기획-기후도 票가 되나요?]
윤지로 입력 2022. 05. 23. 18:09기사 도구 모음
다음달 1일 치러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7개 시·도 교육감도 새로 뽑는다.
후보들의 공약을 내용에 따라 급식, 미세먼지 대응, 기후환경교육 강화, 동물권 교육, 환경 학교 지정, 공간 설비 개선, 기타로 나눠본 결과 가장 많이 등장한 건 급식 관련 공약이었다.
41명의 교육감 후보가 기후·환경 공약을 제시하긴 했지만, 급식 공약이 전부인 후보가 24명이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24명이 친환경 급식 등 내걸어
교내 전기차충전소 확대도 1명
세계일보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58명의 교육감 후보들이 올린 5대 공약에서 기후·환경 관련 공약이 얼마나 포함됐는지 살펴봤다.
58명 가운데 기후·환경 공약을 전혀 내놓지 않은 후보는 17명(29%)이었다.
후보들의 공약을 내용에 따라 급식, 미세먼지 대응, 기후환경교육 강화, 동물권 교육, 환경 학교 지정, 공간 설비 개선, 기타로 나눠본 결과 가장 많이 등장한 건 급식 관련 공약이었다.
환경교육 공약을 건 후보는 13명이었다. 그러나 내용을 살펴보면 환경교육에 힘을 주는 정도는 저마다 달랐다. 여러 교육 가운데 하나로 언급하고 넘어간 후보(제주 김광수 후보, 경북 임종식 후보, 대구 강은희 후보 등)가 있는가 하면 교사·강사진 확보를 함께 이야기한 경우(인천 도성훈 후보, 대구 엄창옥 후보 등)도 있었다. 활성화·강화 등의 표현으로 지금보다 ‘늘리겠다’고 약속한 후보(광주 이정선 후보 등)가 있는가 하면, 조례제정이나 의무화(서울 윤호상 후보 등)까지 언급한 사례도 있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