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찰, 스토킹·성폭력·가정폭력 전문팀 구성
이정현 입력 2022. 01. 27. 19:02기사 도구 모음
경찰이 여성청소년 분야 강력범죄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스토킹·성폭력·가정폭력 등 죄종별 대응팀을 신설했다.
27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 18일 여성청소년범죄수사과 내 부서를 스토킹수사계, 성폭력수사계, 가정폭력·학대수사계로 새롭게 나눴다.
경찰청 관계자는 개편 배경에 대해 "지난해 10월 21일 스토킹처벌법 시행으로 스토킹과 데이트폭력을 여성청소년계가 새로 담당하게 돼 전문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경찰이 여성청소년 분야 강력범죄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스토킹·성폭력·가정폭력 등 죄종별 대응팀을 신설했다.
27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 18일 여성청소년범죄수사과 내 부서를 스토킹수사계, 성폭력수사계, 가정폭력·학대수사계로 새롭게 나눴다.
경찰청 관계자는 개편 배경에 대해 "지난해 10월 21일 스토킹처벌법 시행으로 스토킹과 데이트폭력을 여성청소년계가 새로 담당하게 돼 전문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스토킹처벌법 시행 이후 지난 연말까지 72일간 스토킹 범죄 신고 건수는 총 7천538건으로, 일평균 접수 건수가 법 시행 전에 비해 4배가량 늘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또 "아동학대는 가정폭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함께 담당하는 게 맞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최근 인력 재배치를 통해 전국 여성청소년 강력팀 222명, 스토킹 전담 경찰관 150명, 피해 보호 경찰관 70명을 증원하기도 했다.
lis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아이스크림 할인점 왜 이렇게 많을까?
- 마크롱 외교전 뒷얘기…푸틴 "우리 사이 비밀없잖니" 뒤통수
- "원숭이두창 성기주변 병변 많고 열 덜 나…예전과 다른 증상"
- 베트남전 '네이팜탄 소녀' 50년만에 화상치료 끝마쳐
- 20대 집 냉장고에 아버지 시신…경찰 "사망에 이를 외상 없어"
- 북, 폭염 속 마스크 착용 '깨알조언'…"귓바퀴에 크림 발라라"
- "숨이 턱 막혀"…불볕더위에 한강수영장·계곡 '인산인해'
- 박지원 "尹대통령 나토 참석 80점, 김건희 여사는 90점"
- 제주 해상서 스노클링 하던 40대 관광객 숨져
- '마지막 떠난 길도 쓸쓸' 조유나 양 일가족 장례식 없이 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