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문으로.." 조리원서 관리받던 산모들 불안

신성식 2012. 9. 14.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병 옮고 환불 못 받고..산후조리원의 그늘한국소비자원 피해 신고 올 상반기에만 404건 달해

한국의 출산문화는 독특하다. 특별한 사연이 없으면 대부분의 산모가 병원에서 애를 낳는다. 뜨끈뜨끈한 방에서 미역국을 먹으며 산후조리를 하던 풍습이 많이 사라졌다. 한 해 47만 명인 산모의 48.7%가 집 대신 산후조리원에서 몸조리를 한다(국회 예산정책처 자료). 강남·분당 차병원이 11, 12일 임산부 200명을 조사해보니 79%가 "산후조리원에 갈 것"이라고 답했다.

 산후조리를 돕는 친정 엄마도 줄고 있다. 신세대 산모들의 눈높이가 높아져 전문적 관리를 원한다. 고가(전국 평균 2주 186만원)라는 비판을 받지만 핵가족 시대에 친정 엄마 자리를 산후조리원이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신생아 집단감염 사태까지 발생하는 등 일부에서 문제가 끊이지 않는다. 산모들의 불만이 쏟아지자 한국소비자원이 지난달 초 '산후조리원 주의보'까지 발령했다. 정부 산하기관조차 조리원의 문제점을 공론화한 것이다.

 11일 전북 전주시 W산후조리원 신생아 3명이 갑자기 설사를 했다. 운영자 W병원은 로타바이러스를 검출했다. 일종의 장염으로 설사·구토·발열 증세를 보인다.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들은 특히 취약하다. 이 병원은 쉬쉬하다가 산모 신고로 보건소가 나섰고 환자 4명을 더 찾아냈다. 보건소 하모씨는 "어른은 가볍게 넘어가지만 신생아는 탈수까지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 공릉동 이모(33·여)씨 아기도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됐다. 이씨는 "아기 기저귀를 갈면 손을 씻고 다른 아이한테 가야 하는데 산후조리원 아주머니가 그러지 않았다"며 "손해배상이고 뭐고 따지지 않고 집으로 왔다"고 말했다.

 어떤 곳은 산모가 좌욕할 때 쓰는 좌욕기를 여러 사람이 같이 사용한다. 한 산모는 "자칫하면 항문으로 균이 감염될까 걱정했다"고 말했다. 상당수 산후조리원은 남편 외 다른 가족의 출입을 막을 정도로 감염 관리에 신경을 쓴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들이 모여 있다 보니 항상 감염 위험에 노출돼 있다.

  일부의 전문성 부족도 문제다. 어떤 산후조리원은 열이 나는 아기에게 얼음 베개를 사용하다 산모의 항의를 받았다. 열이 나면 미지근한 물을 써야 한다는 기본 지식이 없었던 것이다. 30대의 한 산모는 냉마사지팩으로 피부관리를 받았다가 얼굴이 마비돼 입이 돌아가는 구안괘사에 걸렸다. 중도에 해약하면 환불받기 힘들다. 6월 초 30대 임신부 이모씨는 출산 한 달 전에 예약을 취소했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21~30일 전에 해지하면 60%를 돌려받는데 이씨는 계약금(31만원)을 받지 못했다.

산후조리원은 6년 사이 2배 가까이 늘어 508곳(3월 기준)이 됐다. 연간 시장 규모는 3500억원.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산후조리원 피해 상담은 660건이다. 2006년 이후 매년 30% 이상 증가했다. 올 1~6월만 404건에 달한다. 계약해지 거부가 53%로 가장 많고 질병감염·신생아상해 등이 15%나 된다. 이런 일을 당해도 환불이나 배상받은 경우는 거의 없다.

  불만이 느는데도 공정거래를 위한 표준약관이나 감염사고 보상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품질이 어떻든 업체가 부르는 게 값이다. 이런 문제를 풀고자 서울 송파구와 제주 서귀포시 등 일부 지자체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을 준비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경선 후보도 공약으로 내걸었다.

 민주통합당 김영주 의원은 "복지부가 산후조리업 표준약관을 마련하고, 연간 200만원까지 산후조리비용을 근로소득공제에 포함해 산모 부담을 덜어주는 내용을 담은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가격·인력·시설·서비스 등의 정보 비교 사이트를 만들어 경쟁을 유도하자고 제안한다. 국회 입법조사처 류동하 조사관은 "산후조리원 요금을 조사해 보건소 홈페이지에 공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후도우미를 집으로 파견할 때 현재 소득하위 50%까지만 정부가 지원금을 주는데, 대상을 확대해 가정 산후조리를 늘리자는 목소리도 크다.

◆취재팀=신성식 선임기자, 박수련·박유미·배지영·장치선·권선미 기자 < welfarejoongang.co.kr >

신성식.박수련.박유미.배지영.장치선 기자 africasun@joongang.co.kr

▶박수련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msn.com/africasun/

입 돌아간 30대女, 출산후 이곳 갔다가…충격

울산 자매 살인범 김홍일, 잡힌 뒤 씩 웃었다

마사지숍 리모컨 누르자 벽 갈라지며 욕조가…헉

주부 살해범 윗집女도? "장갑 낀 괴한 문 열고…"

30대 女방송인, '우유 주사' 중독으로 쓰러져…

회식때 동료들 앞에서 여직원 옷에 손 넣고…

2m넘는 개, 주인이 밥주는 모습 보니 '놀라워'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