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 3·1운동 핵심정신 1순위로 "친일 청산" 꼽았다

2019. 1. 1. 0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 열에 여섯은 3·1운동 정신이 '잘 계승되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운동의 '핵심 정신'과 그 '계승 방법'으로는 공히 '친일잔재 청산'이 중요하다고 보는 국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3·1운동 정신의 계승 방법으로도 '친일잔재 청산'이 가장 높은 비중(31.9%)을 차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1운동 100돌 여론조사]
'국민주권과 참여' '자주독립' 뒤이어
"3·1운동 정신 잘 계승 안돼" 60%
계승 방법도 "친일 청산" 첫손에
이완용. <한겨레> 자료 사진.

국민 열에 여섯은 3·1운동 정신이 ‘잘 계승되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운동의 ‘핵심 정신’과 그 ‘계승 방법’으로는 공히 ‘친일잔재 청산’이 중요하다고 보는 국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 징용 문제 등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일제 잔재에 대한 문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한겨레>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여론조사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월21~25일 실시한 ‘3·1운동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 응답자의 59.7%가 3·1운동 정신이 ‘잘 계승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전혀 계승되지 않고 있다’ 6.3% 포함). ‘잘 계승되고 있다’는 응답은 40.3%에 그쳤다. 세대별로 보면, 부정 의견 비율은 만 15~18살(61.8%), 30대(64.1%)에서 특히 높았고 긍정 의견은 20대(45.5%)와 60대(43%)에서 높았다.

‘3·1운동 정신의 핵심은 무엇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친일잔재 청산 등 역사 바로 세우기’(43%)가 첫손가락에 꼽혔다. ‘국민주권과 참여’(22.7%)와 ‘자주독립’(20.8%), ‘평화와 인권’(13.5%)이 뒤를 이었다.

3·1운동 정신의 계승 방법으로도 ‘친일잔재 청산’이 가장 높은 비중(31.9%)을 차지했다. 이어 ‘3·1운동사 발굴 지원 등을 통한 역사 보완’(25.8%), ‘역사교과서에 3·1운동 내용 보완’(24.3%), ‘공연·전시 등을 통한 국민적 관심 확산’(17.5%) 등이 꼽혔다. 3·1운동 계승을 위해 친일잔재 청산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 이들은 보수 성향(19.1%)보다 진보 성향(43.6%) 응답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임경석 성균관대(사학과) 교수는 “3·1운동은 정의롭다는 국민들의 인식이 낳은 결과로 본다. 3·1운동은 피억압 민족의 자기해방 역사였지만 친일파는 억압 민족의 편에 선 정의롭지 않은 대상이었다”며 “해방 이후 친일파들이 한국 사회의 주류가 되면서 지금의 부조리하고 부정의한 사회구조를 만들었다고 국민들이 판단하고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전국 15살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 이번 조사 어떻게 했나

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 일시: 2018년 12월21~25일

대상: 전국 만 15살 이상 남녀 1000명

조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www.nesdc.go.kr) 참조

오승훈 기자 vino@hani.co.kr

[신뢰도 1위 ‘한겨레’ 네이버 메인 추가]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