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역사박물관, 서울 역사 담은 김기찬 사진작가 유품 기증받아
이지성 기자 입력 2021. 01. 10. 18:27기사 도구 모음
서울역사박물관은 고(故) 김기찬 사진작가의 유족으로부터 서울의 지난 역사를 담은 필름 10만여점과 사진, 육필원고, 작가노트 등 유품을 일괄 기증받았다고 10일 밝혔다.
고도 성장 시기 급변하는 서울의 모습이 아니라 후미진 골목으로 시선을 가져간 사진작가는 김 작가가 처음이었다.
유족들은 김 작가의 사진들이 서울의 소중한 기록으로 보존되길 바란다는 뜻을 밝히며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김 작가의 자료를 박물관 수장고에 영구 보존할 예정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김 작가는 지난 1968년부터 2005년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30여년 간 서울의 변화하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서울의 달동네에서 시작한 사진집 시리즈인 ‘골목 안 풍경’이 대표작이다.
1960년대 말 우연히 방문한 중림동 골목에서 사람들의 따뜻한 정을 느꼈던 김 작가는 골목을 주제로 삼아 도화동, 행촌동, 공덕동 등의 풍경을 사진에 담기 시작했다. 고도 성장 시기 급변하는 서울의 모습이 아니라 후미진 골목으로 시선을 가져간 사진작가는 김 작가가 처음이었다. 그는 다른 이들이 보지 못한 서울의 모습을 성실하게 기록해 필름에 새겨 넣었고 그렇게 쌓인 필름들이 10만점을 넘었다.
1990년대 이후 재개발로 인해 달동네들이 하나 둘 사라지면서 골목들에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평생을 매달리겠다고 생각했던 사진 작업은 골목들이 사라지면서 끝을 맺게 됐다. 유족들은 김 작가의 사진들이 서울의 소중한 기록으로 보존되길 바란다는 뜻을 밝히며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했다.
필름 중에는 그 동안 사진집이나 전시회에서 공개된 사진뿐 아니라 개발 이전의 강남 지역과 서울 변두리 지역의 사진 등 미공개 자료들이 다수 포함됐다. 서울역사박물관은 김 작가의 자료를 박물관 수장고에 영구 보존할 예정이다. 10만여점에 달하는 필름들은 올해부터 디지털화하고 색인하는 작업을 거쳐 박물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마포도 30평 20억 초읽기…치솟는 신축 아파트값
- '한파 속 내복' 3세 여아 상습 방임 조사… '학대 정황은 발견 안 돼'
- '내 세금으로 조두순에 월 120만원 준다고?' 반대 청원 등장
- 장모에게 '짐승보다 못해' 소리친 사위…2심서도 무죄
- 돌팔매질·흉기 공격…브라질서 13세 성전환자 가혹행위로 숨져
- '시끄러워' 사우나 이용객 소화기로 내리친 40대… 피해자 사망
- 마포도 30평 20억 시대 오나…분양권 19.6억 거래
- 與 강성 지지층서 이낙연 '낙승'… '이재명 내쫓아야' 95%
- '루비·다이아몬드 묻혔다'…'로키산맥' 보물 찾으려던 탐험가 결국
- 35년만의 한파에 내복 차림으로 길거리서 도움 청한 3세 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