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향신문]
이란이 미국이 핵합의(JCPOA)에 복귀하지 않으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 사찰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JCPOA 재협상을 앞두고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 신경전을 벌인 것이다.
알리 라비에이 이란 정부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미국이 제재를 해제하지 않으면 2월 19일부터 시작하는 IAEA의 핵 사찰을 제한하는 조치가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그는 “현재까지 우리는 미국의 새 정부와 어떤 대화도, 접촉도 하지 않았다”면서 “미국 새 정부가 어떻게 의무를 이행하고 불법적인 제재를 철회할지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발표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이 조치가 이란이 IAEA의 다른 사찰을 중단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면서 추가 타협 여지를 남겼다.
이란은 버락 오바마 미국 정부 시절인 2015년 이란이 IAEA의 핵 사찰을 받고 핵을 동결하는 대가로 유엔과 미국은 대이란 제재를 풀기로 하는 JCPOA를 체결했다. 이 협정에는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독일이 서명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2018년 일방적으로 협정을 파기하고 이란 제재를 강화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JCPOA 복귀를 약속했지만, 이란이 먼저 JCPOA를 엄격히 지켜야 미국도 제재를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이란은 이날 러시아와 함께 “JCPOA의 완전한 복원을 지지하며 이를 위해선 먼저 미국의 구체적 행동이 필요하다”는 공동 입장을 발표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이날 모스크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하고 “새 미국 행정부 역시 지금까지 말만 했을 뿐,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이란 국영 IRNA통신이 전했다. 자리프 장관은 “우리는 말이 아닌 행동에 대응할 것”이라며 “미국이 JCPOA 약속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위반하는 불법 제재를 종료할 때마다 이란도 적절하게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방한 美 바이든 대통령 경호원, 한국인 폭행 파문
- [인터뷰] 이정재 “선동으로 인한 갈등 옳지 않아…우린 다르게 살 수 있다”
- [단독]임영웅 ‘방점조작’ 사태…KBS 결국 피고발
- 이재명에게 치킨뼈 담긴 철그릇 던진 60대 입건···"시끄럽게해서 그랬다"
- 바이든·문재인 전 대통령, 10분간 통화…바이든 "文, 좋은 친구"
- 대통령비서실장이 쏘아 올린 ‘인천공항 민영화' 논란
- 박지현 “세상에서 가장 공정하다는 한동훈, 김은혜 KT 청탁 수사 지시하라”
- 윤석열 정부 첫 가석방 대상에 '박근혜 특활비 상납' 남재준·이병기 포함
- 전직 프로야구 선수, 데이트폭력 혐의 입건
- 교육감 후보에게 폭행당했다는 후배 교수 “휴대폰으로 이마를 찍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