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브라질 상파울루 지하철역 이름 '일본' 표기로 SNS서 논란
입력 2018. 08. 05. 04:54기사 도구 모음
브라질 상파울루의 한 지하철역 이름에 '일본' 표기를 사용한 것을 두고 논란이 되고 있다.
한 일본인 이민자 단체 관계자는 지하철역과 광장 이름 변경을 위해 오랜 기간 공을 들였다고 소개하면서 "일본인 이민 역사는 110년에 달하고 브라질의 발전을 위해 기여한 점이 인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브라질 상파울루의 한 지하철역 이름에 '일본' 표기를 사용한 것을 두고 논란이 되고 있다.
4일(현지시간) 브라질 언론에 따르면 상파울루 지하철공사는 전날 시내 리베르다지(Liberdade) 지하철역의 이름을 '일본-리베르다지(Japao-Liberdade)'로 바꿨다.
올해 일본인의 브라질 이민 1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상파울루 주지사가 지난달 24일 지하철역 이름 변경을 결정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8일부터는 상파울루 시장의 결정에 따라 지하철역 주변 광장의 이름이 '리베르다지 광장(Praca da Liberdade)'에서 '리베르다지-일본 광장(Praca da Liberdade-Japao)'으로 바뀌었다.
리베르다지는 초창기 일본인 이민자들이 모여 살던 곳이다. 일본풍의 가로등이 세워져 있어 '일본 거리'로 불리고 일본인 이민자 단체와 문화시설, 음식점, 상가 등이 많이 들어서 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다른 국가의 이민자들이 늘어나면서 리베르다지의 모습은 많이 변했다. 특히 중국인이 운영하는 음식점과 상가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일본인 상권은 거의 사라졌고 지금은 '아시아인 지역'으로 불린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SNS에서는 지하철역 이름 변경에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이민자를 차별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인이 운영하는 한 인터넷 언론에는 상파울루 시내 한인타운인 봉헤치루 지역에서 가까운 지하철역 이름에도 '한국'을 표기하도록 노력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봉헤치루 근처 지하철역의 이름을 '치라덴치스(Tiradentes)'에서 '한국-치라덴치스(Coreia-Tiradentes)'로 바꾸자는 의견이다.
그러나 일본인 이민자들이 브라질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한 일본인 이민자 단체 관계자는 지하철역과 광장 이름 변경을 위해 오랜 기간 공을 들였다고 소개하면서 "일본인 이민 역사는 110년에 달하고 브라질의 발전을 위해 기여한 점이 인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브라질은 일본 열도를 제외하고 일본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국가다. 브라질 내 일본인 이민자는 160만 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중 상당수가 상파울루 주에 거주한다.
fidelis21c@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공효진, 가수 케빈오와 10월 비공개 결혼…열애 인정 6개월만 | 연합뉴스
- 3번째 마약 에이미 "부스럼 만들면 국내생활 못할까봐 잘못선택" | 연합뉴스
- 88세 美할머니, 실버타운 내 연못서 악어 공격에 사망 | 연합뉴스
- 판교 한 오피스텔 집중호우 피해액 226억원…주민 자체조사 결과
- 한강서 실종된 20대 숨진 채 발견…"범죄 혐의점 없어"
- 강타 "2000년 베이징 콘서트로 '한류' 단어 알려져" | 연합뉴스
- 수업 중 책상 치고 욕설하며 청각장애 교사 비하한 중학생들 | 연합뉴스
- "신혼 현직 경찰 내연녀, 아내에 1천만원 배상하라" | 연합뉴스
- 美미성년 성폭행범, 100년형 선고 직전 독극물 '꿀꺽'
- 12년째 짜장면값 2천원 받는 중식집 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