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靑 "김정은 연내 답방, 어려워졌다고 본다"
황진영 입력 2018. 12. 10. 09:32 수정 2018. 12. 11. 13:47기사 도구 모음
청와대는 1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어려워졌다고 본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청와대는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도 북측이 답방 시기를 전격 통보해 올 가능성은 열어 두고 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내 답방 가능성은 여전하고 연락을 기다린다는 입장은 유지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손선희 기자] 청와대는 1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어려워졌다고 본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전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이 같이 말하면서 “무리하게 추진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청와대가 연내 답방을 위한 북측 답방 통보의 ‘데드라인’으로 여겼던 지난 주말까지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하자 올해 답방하는 건 물리적으로 힘들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내년 초 답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정을 계속 논의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김 위원장의 제주 숙박 가능성에 대해서는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앞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출입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여러 가지 상황이 고려되어야 하는 만큼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약속한) 평양 공동선언에 대한 두 정상의 이행 의지는 분명하며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는 계속 논의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도 북측이 답방 시기를 전격 통보해 올 가능성은 열어 두고 있다.
북측이 김 위원장 출발 직전이나 전날 발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내 답방 가능성은 여전하고 연락을 기다린다는 입장은 유지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이재명, '노룩악수' 논란에 "오늘은 화장실서 손 씻기도 전에 주먹악수…그때는 미안"
- "흠뻑쇼에 늘씬한 아가씨들 전부 집결"…버스 업체 단체문자 논란
- 장모님치킨, ‘담배꽁초 치킨’ 논란…점주 결국 폐업
- 그린란드 빙하 녹자 '보물찾기' 나선 억만장자들…"수억대 자원 묻혀있다"
- 고갈시점 더 빨라지는 국민연금 … "2092년 누적적자 2경2650조원"
- "北, 3월 신형 ICBM 성공은 거짓말"…'빼박 증거' 나왔다[과학을읽다]
- '1박에 30만원' 폭우 틈타 가격 올린 숙박업소에 원희룡 "분노한다"
- "반성하고 있다" 손정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초상화 내건 이유
- "빠져나갈 수 있게 해주세요"…국방부 장관에게 구조 요청한 러軍
- "주말엔 부업으로 밥값 벌어요"…물가 폭등에 '투잡' 택하는 직장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