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손상된 사람 폐 모습" 어떻게 공격하나 봤더니

입력 2021. 8. 4. 13:01 수정 2021. 8. 5. 16: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손상된 폐 단면 모습. 곳곳에 폐 섬유화가 진행됐다. [한림대성심병원]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 외부 바이러스를 막는 면역세포가 코로나19 감염 시 오히려 폐를 공격하는 주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핏속에서 폐로 스며든 후 대량의 공격 세포로 돌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이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최영기 교수, 지놈인사이트 이정석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같이 규명했다고 4일 발표했다.

공동연구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의 절정기, 회복기에 걸쳐 나타나는 면역반응의 양적·질적 변화를 규명했다. 이로써 폐 손상을 일으키는 특정 면역세포의 특성과 기원이 밝혀졌다.

특히 과잉 면역반응으로 코로나19 환자 폐 손상 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타깃(대상)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로 평가된다.

최초 코로나19에 걸리면 바이러스 유입으로 폐 조직 내에서 즉각적인 면역세포의 활성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면역세포의 대부분은 대식세포(macrophage)다. 대식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 등을 인식하고 포식작용을 통해 직접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면역세포이다. 병원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최전선에서 즉각적인 방어를 담당한다. 코로나19 감염 시에도 대식세포가 초기 방어로 대응한다. 하지만 방어 과정에서 조직의 손상을 유발하고, 염증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서 섬유화를 유발하기도 한다.

코로나19 감염 시 특정 면역세포에 따른 폐 손상 기원을 규명한 주요 연구진. [KAIST 제공]

이번 연구에서 KAIST-충북대-지놈인사이트 공동연구팀은 코로나19 페럿(식육목 족제비과의 포유류) 등 바이러스 감염 동물 모델을 이용했다. 동물에 감염이 진행되는 동안 폐 내 면역세포의 변화를 첨단 연구기법인 단일세포 시퀀싱을 이용해 정밀하게 분석했다. 또 폐 면역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식세포를 10가지 아형으로 분류해 이 중 어떤 대식 세포군이 폐 손상에 기여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2일 후부터 혈류에서 활성화된 단핵구가 급격하게 폐 조직으로 스며들고, 대식세포로 분화하며 양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이러한 대식세포들은 염증성 대식세포의 성질을 강하게 나타내며, 바이러스 제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조직손상을 일으키는 주범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제시했다.

또한 이러한 대식세포 분화의 양상은 중증 코로나19 환자들의 폐 조직에서 관찰되는 변화와도 크게 유사한 것으로 규명됐다.

보건복지부와 KAIST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7월 28일 자로 게재됐다.

연구 결과 모식도 [KAIST 제공]

KAIST 박수형 교수는 “코로나19가 감염된 직후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감염 전과 비교, 정밀하게 규명한 것이 이 연구의 가장 큰 수확이며, 감염 후 폐 손상이 특정 염증성 대식세포에 의한 것을 규명해 중증 코로나19 환자에서 사용되는 면역억제 치료 전략을 정교하게 만들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제1 저자인 지놈인사이트 이정석 박사와 KAIST 고준영 박사과정은 “이번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환자의 폐가 경험하게 되는 선천 면역반응을 단일세포 전사체라는 오믹스 데이터를 이용해 다각적으로 분석해 바이러스 감염 시에 발생하는 대식세포 면역반응의 이중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고 설명했다.

충북대학교 최영기 교수는 “SARS-CoV-2 바이러스 감염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바이러스의 증식성 변화 및 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한 이번 결과는 전반적인 바이러스 감염 및 회복에 관여하는 병인기전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자료”라고 말했다.

공동연구팀은 현재 면역억제제를 투약받은 코로나19 환자들의 면역반응 변화를 종적으로 추적 중이다. 이와 함께 ‘싸이토카인 폭풍’과 같은 치명적인 중증 코로나19의 과잉면역반응의 적절한 제어와 약물의 면역학적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killpa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