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캐나다도 탈북 난민 받아들이기로..한·미 이어 3번째
유세진 입력 2021. 10. 26. 23:22기사 도구 모음
캐나다 토론토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한 보이스'는 26일 한국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북한 주민을 받아들이는 나라가 될 캐나다 내 탈북자 재정착을 위한 민간 후원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정 사무총장은 "태국 내 많은 탈북자들 가운데 캐나다는 성차별적 폭력의 위험에 처했거나 여전히 위험에 처해 있는 북한 여성의 가족이 우선 송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기사내용 요약
탈북자 재정착위한 민간 후원 프로그램 시작
[서울=AP/뉴시스]유세진 기자 = 캐나다 토론토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한 보이스'는 26일 한국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북한 주민을 받아들이는 나라가 될 캐나다 내 탈북자 재정착을 위한 민간 후원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한보이스의 션 정 사무총장은 이날 캐나다 정부와 손잡고 만든 이번 시범 프로그램은 향후 2년 내에 태국 내 탈북자 가족 5멷득 캐나다로 데려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태국은 탈북자들을 북한이나 중국으로 돌려보내지 않아 탈북자들의 주요 경유국이 됐다. 북한의 주요 동맹국인 중국은 고문과 투옥의 위험에도 불구, 탈북자들을 단속하고 강제 송환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정 사무총장은 "태국 내 많은 탈북자들 가운데 캐나다는 성차별적 폭력의 위험에 처했거나 여전히 위험에 처해 있는 북한 여성의 가족이 우선 송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에 정착하는 탈북자들은 12개월 동안 또는 자급자족이 가능핼 때까지 캐나다 자원봉사자들로부터 지원을 받게 된다. 한 보이스는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 후원 기간이 최대 36개월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수만 명의 탈북자들이 중국에 숨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약 3만4000명의 탈북자들은 북한을 한국 영토로 간주하는 법에 따라 시민권과 다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한국에 정착했다.
미국은 2004년 북한인권법 채택 이후 북한 난민들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
정 사무총장은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들 중 일부는 캐나다, 서유럽, 호주로 이주했지만 캐나다 난민 시스템에 접근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시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아나운서 김도연 결혼…신랑은 82만 의사 유튜버 오진승
- 신혜성, 앤디 결혼식 참석했다…앤디 "컨디션 안 좋았는데"
- "신체영상 지워달라"…고세원 전 애인 사생활 재폭로
- "난 이미 사망…잘 있어" 1280만 유튜버의 마지막
- '고부갈등' 이혼까지 갔던 아내에, "오늘 엄마랑 저녁?"
- 돈스파이크 "500만원 티켓 팔지마" 신혼여행 중 분노
- "700달러 같은 소리하네"…이영지, SNS 해킹에 분노
- 손녀 결혼 소식에 박막례 할머니 유튜브 '구독 취소' 역풍…왜?
- 김혜수, 팔짱 낀 영화관 데이트 포착(종합)
- 이상아 "성형수술 대만족"…얼굴 정면 공개